배너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인천 31.5℃
  • 맑음수원 32.9℃
  • 맑음청주 33.1℃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전주 34.0℃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여수 30.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천안 31.6℃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국제

독일 사민당, 대연정 협상에 참여하기로 결정

독일 사민당, 대연정 협상에 참여하기로 결정 
 
'자메이카 연정'(기민·기사 연합, 자민당, 녹색당의 상징색인 검정, 녹색, 노랑을 합치면 자메이카 국기 색과 같아 비유적으로 쓰는 표현) 협상 결렬 후 기민·기사 연합과 사민당의 대연정 협상이 시작된다. 대연정 협상에 대해 유권자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첫 여론조사가 발표됐다. 
지난 10일 <디 벨트>의 보도에 따르면, 기민·기사 연합과의 대연정 협상으로 사민당의 입지가 약해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61%에 달했고, 강해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24%에 그친 것으로 나왔다(엠니트 조사에서는 기민·기사 연합의 입지가 약해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41%, 반대로 입지가 강해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36%로 나왔다).  

앞서 7~9일 열린 사민당 전당대회에서 마르틴 슐츠 대표는 81.9%의 득표로 당 대표 연임에 성공한 후 기민·기사 연합과 '결론이 열려있는 대화'를 하겠다며 대연정 협상에 참여하기로 했다. 슐츠 대표의 이러한 결정은 9월 총선 전부터 "기민·기사 연합과 대연정은 하지 않겠다"는 완강한 입장에서 한 걸음 물러난 것인데, 무엇보다 '재선거라는 정치적 혼란만큼은 막아야 한다'는 여론과 당내 비판이 영향을 끼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자메이카 연정 협상 결렬 후 최대의 정치적 위기를 맞은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13일로 예정된 대연정 협상에서 난민 수 제한 반대, 증세, 최저임금 인상 등 사민당의 요구를 받아들일지 주목된다. 언론은 불리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슐츠 대표가 사민당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강경한 태도로 협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정당 지지율은 기민·기사 연합 33%, 사민당 21%, '독일을 위한 대안'(AfD) 12%, 좌파당 10%, 자민당 9%로 전주와 비교해 변화가 없었다. 녹색당만 1%포인트 올라 11%를 기록했다. 

사진 출처: Die Welt online

독일 보도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유로저널(http://www.eknews.net)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모델의 환각 현상: 기술적 한계와 윤리적 문제점 심화 분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AI 모델의 발전과 함께 '환각 현상'이라는 새로운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환각 현상이란 AI가 사실이 아닌 정보를 마치 사실인 것처럼 생성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AI 기술의 신뢰성과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AI 모델은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패턴을 인식하고 예측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학습 데이터의 오류나 편향, 모델 자체의 한계 등으로 인해 사실과 다른 결과물을 생성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환각 현상은 단순한 오류를 넘어, 잘못된 정보 확산,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법적 문제까지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모델은 환각 현상에 더욱 취약합니다. 이러한 모델은 새로운 텍스트, 이미지, 코드 등을 생성하는 데 탁월하지만, 그 과정에서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지 못하고 그럴듯한 거짓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AI 기술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환각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더욱 정확하고 균형 잡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