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제

영국 대학교 교육에 경고등

영국 대학교 교육에 경고등


고등교육을 위해 많은 학자금 대출을 받은 학생들이 선택한 대학교 교육이 실패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일간 가디언지는 국가감사원 (National Audit Office, NAO)의 신랄한 보고서를 인용해 대학생 3명중 1명의 학생만이 그들이 대학교에 투자한 돈의 가치를 돌려받는다고 응답했다고 보도했다.


NAO 보고서는 많은 대학교들이 그들의 수입을 라이벌에 능가하는 시설을 짓기에 급급하게 쓴다며 경고했다.

NAO의 Amyas Morse는 만약 대학교들이 은행이었다면 그들은 '잘못된 판매 (mis-selling)'를 하는 것으로 감사를 받았을 것이라며, 교육부가 학생들이 그들의 학과를 제대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학생들 투자의 가치를 보장하기 위한 좀 더 강력한 관리감독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Morse 는 "많은 (대학교)기관들은 학생들에게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경쟁에 압력이 없다.“며, ”교육부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행동을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노동당의 Meg Hillier는 교육부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손을 떼고 있으며, 그 결과 많은 학생들이 연 £9,250 에 달하는 등록금에 몸부림치게 만들고 평균 £50,000의 빚을 지게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교육부 대변인은 정부가 고등교육 등록금에 대한 주된 리뷰를 실시할 계획을 이미 계획을 세웠다고 밝히며, "우리의 개혁은 학생들이 어디에서 어떠한 공부를 할 지 결정하는데 있어서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들이 그들이 투자하는 돈에 적합한 가치를 얻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Universities UK lobby group의 대변인은 "대학교들이 수업과 배움에서 투자를 증가해오고 있고, 현재 학생들은 그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꽤 높은 것으로 보고됐다."고 밝힌 반면, Universities and College Union의 Sally Hunt는 대학생 중에서 자신들이 투자한 금액에 비해 받는 가치가 상응된다고 하는 학생들의 응답률이 2012년 50%에서 현재 3분의 1로 떨어졌다고 했다.


영국 보도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유로저널(http://www.eknews.net)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어제는 환경공무관 오늘은 시장 상인!...성북구청장, 현장 누비며 정책 실마리 찾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이승로 서울 성북구청장이 구정 운영의 중심을 ‘현장’으로 옮기며 주민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성북구는 이번 상반기, 주민과 구청장의 질의-응답식으로 진행했던 기존의 현장구청장실에서 탈피해 새로운 방식에 도전한다. 이 구청장이 지역 내 다양한 직업을 직접 체험하고, 주민의 삶 속 고충과 애환을 구체적으로 마주하며 정책에 반영하는 ‘체험 삶의 현장’ 현장구청장실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구청장은 5월 15일 청소공무관 체험을 시작으로 22일에는 전통시장 상인으로 일하며 현장에서 종사자들과 함께 근무하고 식사하며 생생한 목소리를 들었다. 특히 돌곶이시장에서 진행된 상인 체험에서는 환경개선 사업의 실효성을 직접 확인하고,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 구청장의 활동은 총 6회에 걸쳐 유튜브 영상으로 제작되며, 현장 인터뷰와 정책 피드백을 담아 주민들에게 공개된다. 성북구는 이 같은 현장 밀착형 행정을 통해, 형식적인 소통이 아닌 실질적 변화로 이어지는 정책 실현을 기대하고 있다. 오는 5월 23일에는 편의점 아르바이트 체험을 통해 청년 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