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대북 외교해법 실패하면 군사옵션"


 

 


[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트럼프 행정부의 유효 안보 핵심 인사들이 일제히 북한에 대한 군사 행동을 경고하고 나섰다.


틸러슨 장관은 외교적 해법이 실패한다면 남는 것은 군사옵션뿐이라고 강조했다.


지속적으로 평화적 해법을 강조해온 틸러슨이 군사옵션을 내세운 것은 이례적이다.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 2375호를 이끈 헤일리 유엔 미국대사도 가세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화염과 분노' 발언은 빈말이 아니라면서, 미국은 많은 군사옵션을 갖고 있다고 경고했다.


북한이 무모한 행동을 이어간다면 파괴될 거라고도 했다.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역시 대북 제재가 시급한 시점이라면서, 필요시 군사옵션을 준비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정부의 외교안보 핵심 인사들이 일제히 군사옵션을 들고 나온 것은 미국의 인내심이 고갈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이번 주 유엔총회에서 국제사회에 보다 강력한 대북 외교적 압박을 촉구하는 데 총력을 다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ESG 공시 의무 강화,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 시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공시 및 실사 의무가 강화되면서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전환점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국제적인 규제들이 고도화되면서, 국내 기업들은 수출 및 글로벌 공급망 유지를 위해 더욱 철저한 ESG 경영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최근 EU 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논의되는 CSDDD는 기업이 인권 및 환경 측면에서 자사의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식별하고 예방, 완화하도록 의무화한다. 이는 유럽 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유럽 시장에 진출하거나 유럽 기업과 거래하는 비EU 기업들에게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급망 내의 중소기업까지 ESG 리스크 관리를 확대해야 함을 의미한다. 과거의 자율적인 공시를 넘어, 이제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 강제적인 실사 의무가 도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규제 환경의 변화는 한국 기업들에게 이중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먼저, 복잡하고 다양한 해외 규제에 대한 이해와 준수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자체적인 ESG 성과 관리뿐만 아니라 협력사의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