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인천공항 제2터미널 내년 1월 문연다


 

 

[데일리연합 최희영기자]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이 평창동계올림픽 개막 전인 내년 1월에 문을 열 예정이다.


포화상태에 이른 인천공항 이용객과 항공사들을 분산시키게 되는데, 개장을 앞두고 실제상황처럼 시험 운영에 들어갔다.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에서 북쪽으로 2.6km 떨어진 곳에 들어선 제2여객터미널에 막바지 공사가 한창이다.


지난 2009년부터 4조 9천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공사가 진행됐는데, 이제 개장을 눈앞에 두고 있다.


앞으로 항공사가 재배치되는데 기존의 제1여객터미널은 아시아나항공과 외항사 등 42개 항공사가, 제2여객터미널은 대한항공과 델타항공 등 4개 항공사가 쓰게 된다.


또 탑승동은 저가항공사 등 26개 항공사가 이용하게 된다.


2터미널 개장을 앞두고 여객 4천여 명과 수하물 8천여 개를 동원해 실제 같은 종합시험운영이 실시됐다.


여행객이 스스로 발권하고, 짐을 부칠 수 있는 '자동 수하물 위탁' 공간이 두 배 늘었고, 출국장은 2개 설치됐다.


노인 등 교통약자를 한 '교통약자우대 출구'가 준비됐고, 항공사 비즈니스석 이상 여객을 위한 별도의 출국장도 마련됐다.


'전신검색대'를 도입하는 등 보안을 더 강화했다.


입국 뒤 이용하는 버스 승차장 대기 공간은 실내에 마련됐고, 제1여객터미널과 제2여객터미널을 연결하는 셔틀버스도 운영된다.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은 내년 1월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층 디지털 소외 심화, 사회적 연대 강화로 해결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현재, 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 비대면 문화가 일상화되고 키오스크, 모바일 앱을 통한 서비스 이용이 필수가 되면서, 디지털 기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권리마저 침해받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사회적 고립과 정보 접근성 불평등을 야기하며, 시급한 사회적 논의와 해결책 마련이 요구된다. 디지털 소외는 고령층의 건강, 금융, 복지 등 삶의 질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진료 예약, 모바일 뱅킹, 정부 지원금 신청 등 필수적인 서비스들이 디지털 환경으로 이동하면서, 디지털 접근성이 낮은 노인들은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큰 장벽을 느낀다. 또한, 비대면 소통 방식의 확산은 가족 및 사회 구성원과의 단절을 심화시켜 심리적 외로움과 고독감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키오스크 체험존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대부분 일회성이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