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제

싱마 고속철 2026년 개통, 중일한 경쟁 정식 시작

 계획 중의 싱마 국제고속철

중국 증권망(中国证券网)이 인용한 7월 20일 일본 매체 보도에 따르면 7월 19일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정부는 2026년에 싱가포르로부터 말레이시아에 이르는 국제 고속철 라인을 개통하기로 결정했다.

이 계획은 이르면 올해 안으로 상세한 쌍변 협정을 체결하고 2017년에 철도건설과 운영회사 국제 입찰을 거행하게 된다.

일본 측이 싱마 양국의 신칸센 시스템(新干线系统) 채용을 추진하면서 중국과 한국 등 국가들과의 경쟁도 정식으로 전개됐다.

리센룽(Lee Hsien Loong, 李显龙) 싱가포르 총리와 나지입(Dato' Sri Mohd Najib bin Tun Haji Abdul Razak) 말레이시아 총리가 일전 쿠알라룸푸르에서 회담을 거행했다.

두 사람이 지켜보는 가운데서 양국 정부가 비망록을 체결했다. 향후 양국 정부는 공동위원회를 설립하고 8월에 입찰로 기술제공 차원 등을 제공하는 컨설팅회사를 결정하게 된다.

그 외 이익 분배와 자금 준비 등 문제도 올해 안으로 확정하게 된다.

초기 비용 모금방법은 아직 명확하지 않고 운영 회사가 취득하게 되는 승차권 등 수입을 건설비 상환에 사용

차량과 라인 등 건설과 관리, 차량 운행 등을 책임지게 되는 기업이 국제 입찰로 확정하게 된다.

승객들은 출발지-쿠알라룸푸르와 싱가포르에서 입국 등 수속을 하고 국경에서 하차할 필요가 없다. 이 내용도 비망록에 수록하게 된다.

이 고속철 프로젝트 길이는 대략 350㎞이며 운행시간이 대략 1시간 반이 걸리게 된다. 건설 총체 비용은 아직 공포되지 않았지만 예기컨대 대략 650억 링키트(1090억 위안 인민폐)에 달하게 된다.

양국 정상은 2013년 초반에 공동인식을 달성하고 처음에는 2020년에 개통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 JR동일본 등 일본 기업들이 쿠알라룸푸르에서 고속철 전시장 등을 개설하고 홍보활동을 계속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고가로 말레이시아 총리가 설립한 그리고 현재 경영난에 빠진 말레이시아 국가 기업-원 말레이시아 발전사(1MDB)를 인수하고 그에 대해 자금공세를 발기했다.

중국이 인수한 자산에는 또 고속철 기차역 주변의 개발토지도 포함됐다. 외교소식통은 입찰 경쟁 중 ‘현재 중국이 우세를 차지했다’고 말했다.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강서구, 김포공항 고도제한 70년 만에 대전환 "더 이상 고장난 레코드는 없다"

데일리연합 (SNSJTV) 송은하 기자 | “고장난 레코드처럼 수십 년 반복된 ‘고도제한 완화’ 구호를 이제 실행으로 바꾸겠습니다.” 진교훈 서울 강서구청장은 9월 11일 마곡안전체험관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기준 개정에 따른 변화와 김포공항에 대한 구체적 적용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발표는 항공안전과 도시개발의 조화를 명시한 국제기준 변화에 맞춰, 실제 운항절차에 근거한 합리적 고도관리 체계를 마련해 주민 삶과 도시 잠재력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다. ◆ 70년 만의 국제기준 개정, 안전과 개발의 균형 명문화 ICAO는 지난 8월 항공고도 관리 기준을 70년 만에 전면 개정했다. 기존 단일 기준인 ‘장애물 제한표면(OLS)’을 ‘장애물 금지표면(OFS)’과 ‘장애물 평가표면(OES)’으로 세분화해 필수 구역은 철저히 보호하되 불필요한 제한은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핵심이다. “사용하지 않는 표면은 보호할 필요가 없으며,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역은 개발을 위해 해제할 수 있다”는 원칙이 개정서문에 명시됐다. 새로운 기준은 2030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