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한국사회에 거짓말 만연, 세계 제1사기대국

 

 일본 잡지를 인용한 한국 조선일보 보도 캡쳐
 

한국인은 거짓말하기를 일상생활의 일부분으로 삼는다
 
전문 재정경제 소식을 보도하는 일본 ‘비즈니스 저널(商业杂志)’의 6월 14일 보도는 한국 경찰청의 숫자를 인용하면서 한국사회에서 만연되는 거짓말을 비난했다.
이 보도는 한국인들이 거짓말하기를 일상생활의 한 구성부분으로 삼는다고 말했다.
한국 정계의 뇌물 수수행위가 끊임없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심지어 전두환 전 대통령도 앞장서서 추악한 행위를 연기해 한국 사람들은 사기가 매우 보편적인 현상으로 인정하고 있다.
한국 조선일보와 선구자경제보 등 두 개 매체가 이 일본 잡지보도를 전재했다.
6월 17일 타이완 둥선 신문 클라우드 사이트(台湾东森新闻云网站)는 한국 조선일보의 보도를 인용하면서 한국사회에는 거짓말이 만연하며 이미 사회 문제로 됐을 뿐만 아니라 한국은 세계 제1부패에 사기국가로 됐다고 말했다.
보도는 한국인들이 “습관적으로 하는 거짓말이 매일 호흡하는 것과 같다. 이는 한국인들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고 말했다. 경제침체에 따라 한국의 사기범죄 현상이 더욱 심각해졌다.
이 잡지는 한국 경찰청의 숫자를 인용하면서 2000년 한국에서 1198명이 위증을 했으며 2956명이 무고죄에 판결되고 5.386만 명이 사기를 했다고 말했다.
2013년 위증을 한 범죄자가 3420명, 무고죄를 범한 자가 6244명, 사기범은 29.11만 명으로 급증했다. 이 숫자는 일본의 66배나 되며 인구 규모를 고려하면 일본의 165배나 된다.
그 외 한국에서 사기로 인해 초래된 손실이 34조 원(2415억 위안 인민폐)에 달한다. 이 잡지는 이 점은 한국이 ‘세계 제1사기 대국’임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이 잡지에 따르면 한국의 정계와 공무원들의 수뢰현상이 매우 엄중하며 특히 1988년이후 거의 모든 대통령 혹은 그들 친인척들이 수뢰 혹은 부당축재를 한 문제가 발견됐다.
한국의 ‘정부부문 부패 현 상태 연구보고’에 따르면 대략 과반수의 국민들이 “공무원들을 향해 뇌물을 주는 것이 매우 보편적인 현상이다.”고 인정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에서 ‘부정풍기가 만연하는‘ 주요 원인은 “한국 사회가 결과만 중히 여기기 때문이다. 비록 범죄기록이 있다 해도 돈과 권세가 있으면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다.”
이 잡지에 따르면 한국사회에서 만연하는 각종 거짓말과 부패현상은 박정희 전 한국 대통령의 말에서도 보아 낼 수 있다.
“우리 민중들은 명예관념이 약하고 책임감도 결핍하다.”
이 잡지는 “자기의 신념을 굳게 지키기보다 개인의 낯이 더 중요하다”는 한국 사회문화가 사람들의 책임의식을 하락시키고 최종적으로 ‘남을 짓밟아서라고 위로 기어 올라가는’ 사회 풍기로 발전하게 했다.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제1기 안동시 아동참여위원회 발대식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장우혁 기자 | 안동시는 9월 7일 시청 웅부관 청백실에서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참여체계로 제1기 안동시 아동참여위원회 발대식을 개최했다. 아동참여위원회는 아동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아동과 관련된 정책이나 제도 등에 참여할 수 있으며 아동의 권리증진을 위해 활동하는 아동 대표단이다. 아동위원 임기는 2년으로 아동복지 정책 수립, 아동친화적 도시 환경 조성, 아동의 건강 증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동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운영된다. 이번 발대식에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6학년까지 20명의 아동으로 구성된 제1기 아동참여위원에 대한 위촉장 수여와 함께 아동 4대 권리(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교육 및 위원장 선출 등을 통해 아동들이 시정에 참여하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준비됐다. 그 밖에도‘안동시를 소개해 보기’ 조별활동을 통해 안동시의 역사, 문화, 관광 명소, 특색 등을 자유롭게 조사하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위원으로 참여한 아동은“아동참여위원으로 활동하게 돼 기쁘고, 오늘 안동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