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광주광역시, 아셈 문화장관 제1차 고위급 회의 개최 - 광주광역시청


6월 장관회의 안건, 차기 아셈 문화장관 회의 개최국 등 논의
광주의 멋·흥 느낄 수 있는 문화탐방, 남도 맛 체험 기회 마련

문화체육관광부와 광주광역시는 오는 2월 2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제7차 아시아-유럽(ASEM) 문화장관회의 제1차 고위급 회의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오는 6월 '문화와 창조경제'를 주제로 광주에서 개최되는 제7차 아시아-유럽 문화장관회의 실무회의로 53개 아셈 회원국 고위급 인사 100여 명이 참여해 장관회의 안건과 세부일정, 차기 아셈 문화장관 회의 개최국 선정, 회의 기간 중 진행되는 워크숍 개최방안 등을 논의한다.

대표단이 입국하는 오는 2월 1일에는 문화전당 5개원을 둘러보면서 기능과 역할을 설명하는 시간을 갖고 이후 도심에 설치된 광주폴리를 관람한다.

오는 2월 2일에는 남도 문화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전통문화관을 방문해 한국 고유의 건축양식을 살펴보고 투호 던지기, 제기차기 등 전통놀이 체험, 다도 시연과 가야금 병창을 관람한 후 사직전망타워에 올라 광주 야경을 감상하는 등 광주의 멋과 흥을 만끽할 수 있는 문화탐방 행사를 갖는다.

또한 오찬과 만찬에서는 남도의 풍미를 느낄 수 있는 한식을 제공해 전 세계인들에게 남도음식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기회를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2일 공식 오찬에는 아시아, 유럽지역 문화 관련 고위급 인사들과의 네트워킹과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광주국제교류센터, 중국총영사관, 고려인 마을 대표 등 문화ㆍ예술 분야 유관단체ㆍ기관장을 초청할 계획이다.

한편 오는 6월에 개최되는 제7차 아시아-유럽(ASEM) 문화장관 회의는 올해 광주에서 개최하는 유일한 국제행사로 대한민국의 문화 창조역량을 전 세계에 알리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국제적 입지를 확고히 다지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회의 기간 동안 아셈 문화주간을 설정해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세계 웹콘텐츠 페스티벌, 아시아 문화포럼과 각종 문화 공연행사를 집중적으로 개최할 방침이다.

김인천 광주시 문화도시정책관은 "이번 고위급회의와 장관회의 광주 개최를 통해 전 세계인들에게 광주 문화의 독창성과 다양성을 보여줄 수 있도록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해 문화융성과 창조경제 선도도시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영양군, 국토부 지역수요맞춤지원사업 공모 선정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장우혁 기자 | 영양군은 국토교통부 주관 ‘2025년 지역개발사업’ 소규모 지역수요맞춤 지원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어, 총 14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으며 전국 7개 시·군 중 유일하게 2개 사업이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고 8일 밝혔다. ‘지역수요맞춤 지원사업’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실생활과 밀접한 생활 편의시설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일반형과 소규모형으로 나뉘며, 소규모형은 사업당 국비 7억 원을 지원한다. 영양군은 이번에 소규모형 부문에서 2개 사업에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두 사업은 지난 3월 경북 산불로 피해를 입은 석보면 화매1리·2리 마을을 대상으로 하며, 피해 지역의 공동체 기능 회복과 안전한 정주 환경 조성을 위한 복구·정비 사업이 추진된다. 첫 번째 화매2리 사업은 산불로 소실된 마을 공동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주민들이 다시 삶의 터전을 일궈갈 수 있도록 다목적 공동이용시설을 조성하고 마을 경관 개선, 마을회관 리모델링, 화재로 훼손된 경로당 정비를 추진한다. 두 번째 화매1리 사업은 산불로 전소된 마을창고를 재건축하고, 이재민 숙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