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스마트폰 카드 결제단말기,한국미술 발전을 위해 기부금 제도 마련..



Paythink는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개인사업자나 기타사업자,
 배달대행 등 모든 사업자가 사용할 수있는 카드 결재단말기가
요즘 대세다. Paythink와 기존 카드단말기의 차이는 기존
카드단말기의 가격은 고가이지만, 월 이용료를 낸다.

또한, 기존 카드단말기는 배터리가 필요한데, Paythink는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며 배터리가 필요 없다.
스마트폰의 인터넷을 쓰기 때문에 Paythink 자체 인터넷
요금이 부과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하자면, 기존 단말기는 인터넷 요금으로 월 추가
요금이 발생되는데. Paythink는 월 추가 비용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기존 카드단말기는, 영수증이 나오는데, Paythink는 용지
공급비를 절약하기 위해서 용지을쓰지 않는것도 특징이다.
그러나 손님이 영수증을 원한다면, 문자나 이메일로 처리가
가능하다. 그런데 대한민국 정부가 용지수입비용을 줄이고
발열지를 통해 발암물질이 나와 환경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 작년부터 대형업장을 시작으로 영수증 용지를 없애는
규제가 시작되었으며 점차적으로 모든 업장에서 종이 영수증은
사라질전망이라고 관계자는 밝혔다.

인터넷에서 판매하는 제품이라서 A/S는 페이씽크 단말기의
특성상 고장율은 거의 99.9% 지만 기기적 결함이나 문제가 발생시
고객들에게 무상 교체를 실시하고 있다. 고객들의 편리를 위해서
구입처에 가시거나 문의하시면 바로 새 제품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므로 고객정보의 안정성은 Paythink는
절대로 해킹을 당할 수가 없다.Paythink는 고객정보의 사용기록이
남지 않는것도 특장점이다.
 
단말기 자체에 정보 보관기능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휴대폰에도 마찬가지로 고객의 개인정보 노출은 불가능
하다. 한편, Paythink는(주)예술통신과 업무 제휴을 통하여
한국미술의 발전을 위해서 Paythink의 인터넷 사이트 판매 금액과
사용 수수료의 일부를 도네이션 한다고 회사관계자는 밝혔다.

페이씽크는 11번가 등 온라인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http://www.11st.co.kr/browsing/MallPlanDetail.tmall?method=getMallPlanDetail&planDisplayNumber=1929537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경북교육청,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역량 강화 연수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경북교육청은 지난 5일 구미시에 있는 호텔금오산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지원단 140여 명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전문성을 높이고,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한 삶과 성장 중심 교육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현장의 열의와 교육 변화에 대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는 개념 기반 탐구학습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자율시간 운영 방안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 탐색 등으로, 교육과정 지원단의 현장 적용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됐다. 또한,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경북교육청이 새롭게 도입하는 ‘경북학생성장지원평가’에 관한 실질적인 안내도 함께 이루어져 참여자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호응을 얻었다. 경북교육청은 앞으로도 ‘학생 중심’과 ‘미래 지향성’이라는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를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