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김정민, 힘들고 외로웠던 어린시절의 가정사 털어놔


<tvn 화면캡쳐>

 12일 방송된 tvN 예능프로그램 ‘택시’에서 배우 김정민이 불우했던 가정사에 대해 털어놨다.

이날 MC이영자의 “어떤 집이 제일 부러웠냐”는 질문에 김정민은 “밤이 되면 부모님이 다투시지 않으시고, 일찍 조용히 자는 집”이라고 대답했다.

그는 “중학교 1학년 때부터 엄마와 따로 살았었다. 막내동생이 어렸었는데, 그 때 당시에는 남동생이 학교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학업을 중단한 이유에 대해 밝혔다.

이어 “그 때부터 미용기술을 배워 돈을 벌기 위해 사촌언니의 도움을 받아 서울로 올라갔다”며 “동생을 시골에 두고 왔었는데, 데리고 와야겠다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김정민은 또한 “다복한 환경에서 자랐더라면...밝음?그런거에 대한 생각이 항상 있다”고 말해 시청자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학업을 중단했던 것에 대해 김정민은 “특별히 아쉽지는 않지만 최근 느낀 점이 있다면 1년만에 검정고시로 중고등학교 과정을 마치다 보니 역사나 영어 등이 많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한편 김정민은 길거리 캐스팅으로 2003년 KBS드라마 ‘반올림1’으로 데뷔하여 현재 온스타일 ‘겟잇뷰티’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등 다양한 예능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이슈분석] 전고체 배터리 전쟁, 기술이냐 속도냐…한·중·일 삼국지

데일리연합 (SNSJTV) 윤태준 기자 | AI 연산 증가, 전기차 대중화, 소형 원자로(SMR) 확산이 전력 효율과 안전성 향상에 대한 수요를 키우면서 ‘전고체 배터리’가 글로벌 산업의 게임체인저로 떠오르고 있다. 액체 전해질을 대체할 고체 전해질 기술이 배터리 구조를 송두리째 바꿔놓는 가운데, 일본은 정밀화학과 소재 기술로 앞서가고, 미국은 혁신 설계로 승부수를 던지며, 중국은 상용화 속도를 무기로 치고 올라오고 있다. 반면 한국은 기존 생산설비와 양극재 강점을 발판으로 반전을 노리지만, 정밀화학 분야의 약점이 기술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란? 전고체 배터리는 이름 그대로 전해질을 고체로 바꾼 2차 전지다.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액체 전해질은 누액과 화재 위험을 내포하지만, 고체 전해질은 안전성이 높고, 리튬 금속 음극 사용이 가능해 에너지 밀도도 향상된다. 덴드라이트(금속 결정체)로 인한 단락 위험도 크게 줄어든다. 하지만 고체는 액체처럼 구조물 사이 빈틈을 자연스럽게 메우지 못하기 때문에 ▲이온 전도성 저하 ▲고체 간 계면 접촉 불량 ▲박막 증착 기술의 어려움 등 여러 도전 과제를 안고 있다. 기술 과제와 해법 전고체 배터리의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