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전북

완주군 "2020 사회조사 보고서" 발표, 완주 청년들 4차 산업혁명 인지도 높아

6개 분야 최대 64% 기록, “4차 산업혁명 흐름에 관심 갖고 적극 대응해 나가자” 적극대응 단면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양평호 기자 | 완주군(군수 박성일)은 지난 22일 "2020 사회조사 보고서"결를 발표했다.

이번 "2020 사회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완주군 청년들의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의 인지도 조사에 "잘 알고 있다"는 주민들의 응답 비율에서는 "인공지능(AI)" 38.0%, "사물인터넷(IoT)" 28.4%, "빅데이터" 27.7%, "자율주행 자동차" 40.1%, "3차원 인쇄" 33.0%,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30.8% 등으로 조사됐다.

 

이런 인지도 비율은 같은 방식의 전북 전체 응답비율과 비교할 때 비슷한 수준이며, 일부 항목 답변에서는 오히려 완주군 주민들의 인지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인공지능(AI)을 잘 아는 편”이라는 답변은 전북 평균(32.4%)보다 완주군 주민 응답(35.7%)이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완주군의 39세 이하 젊은층 응답자들은 6개 분야별로 적게는 45%에서 최대 64%의 인지도를 보여 4차 산업혁명 흐름에 관심을 갖고 적극 대응해 나가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됐다.

 

39세 이하 청년 3명 중 2명 가량은 “인공지능에 대해 잘 아는 편(59.9%)이다”라거나 “매우 잘 알고 있다(4.0%)”고 응답했으며, “잘 모른다”는 비율은 36.2% 수준이었다.

 

사물인터넷에 대해서도 젊은층 응답자의 절반(50.6%)이 매우 잘 알거나 잘 아는 편이라고 말했으며,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인지도 역시 61.3%로 집계됐다.

 

이밖에 자율주행자동차 60.0%, 3차원 인쇄 58.8% 등 완주군 청년들은 대체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다. 다만, 빅데이터에 대한 인지도만 45.5%를 기록하는 등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에 60세 이상 연령층의 인지도는 인공지능 13.6%, 사물인터넷 7.8%, 빅데이터 9.0%, 자율주행자동차 15.4%, 3차원인쇄 7.9%,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6.3% 등으로 저조했다.

 

이번 조사는 작년 8월 19일부터 9월 7일까지 2주 동안 완주군 54개 조사구 810가구의 만 15세 이상 가구원 1,176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령대별 응답자 수는 39세 미만이 199명(16.9%), 39~59세 413명(35.1%), 60세 이상 564명(48.0%) 등이었다.

 

한편 보고서는 거주 지역과 조사 대상, 성별, 주택 형태별, 세대구분별, 학력별, 직업별 변수를 독립변수로 각 문항에 대해 교차분석을 실시해 신뢰도를 높였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기획]'딸기 막걸리'부터 '장미청'까지..고양시 농업창업의 도시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고양특례시가 농산물가공지원센터의 혁신으로 농업인의 창의성과 기술, 유통을 아우르는 종합 창업 플랫폼을 구축하며, 단순 가공시설을 넘어 농업의 산업화를 실현하는 선도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시는 2017년 덕양구 원흥동 농업기술센터 내에 농산물가공지원센터를 개소한 이후, 2021년부터 1년 10개월간의 증축 공사를 거쳐 2023년 9월 공유주방으로 운영방식을 전환했다. 창업 농업인을 위한 전 주기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농산물가공지원센터는 순수 가공시설을 넘어 농업인이 직접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창업의 거점”이라며 “앞으로도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 아우르는 전방위 지원으로 농업인의 자립과 성장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이디어가 상품으로...‘딸기 막걸리’,‘꽃청’등 창의 제품 개발 지원 고양시는 농산물가공지원센터를 공유주방 기반 창업지원 체계로 전환하면서, 농업인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실제 제품으로 탄생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부터 유통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