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메르스 여파로 2분기 소비성향 사상 최저 기록


[데일리연합 남성현기자] 메르스 여파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가구의 지출 증가 폭이 소득 증가 폭에 크게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15년 2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올 2분기 평균 소비성향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포인트 줄어든 71.6%로, 관련 통계가 전국 단위로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2분기 기준으로 최저치를 나타냈다.

이제까지 가장 소비성향이 낮았던 작년 4분기(71.5%)보다 0.1%포인트밖에 높지 않은 역대 2번째 최저 기록이다. 가구당 처분가능소득은 348만4000원으로 1년 전보다 3.1%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분기 가계 흑자액은 9.6% 증가한 98만9000원이었다. 평균소비성향은 가장 저소득층인 1분위(-11.0p)에서 가장 크게 감소했고, 소득이 많은 5분위(-4.2%p)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올 2분기 전국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27만1000원이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9% 증가했고, 물가상승을 제외한 실질소득으로는 2.0% 감소했다.

근로소득(1.7%)과 이전소득(15.2%)은 증가한 바면 사업소득(-2.1%)과 재산소득(-6.3%)은 감소했다. 소득 1분위(9.6%)에서 소득증가율이 가장 높았고 나머지 4개 분위는 1∼3%대였다. 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분배지표인 ‘5분위 배율’은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4.19로 줄었다.

가구당 월평균 지출은 2분기에 328만1000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1.0% 늘어나는데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소비지출은 249만4000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0.7% 증가했다. 비소비지출은 2.0% 늘어난 78만7000원이었다.

통계청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작년 2분기와 비교해서는 소비성향이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지만, 메르스 여파로 오락·문화 등 여가 관련 지출까지 줄어들면서 전반적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MZ 핫플레이스'의 그림자: 고용부, 주 80시간 근무 의혹 유명 베이커리 특별 근로감독 착수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소위 'MZ 핫플레이스'로 불리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어온 유명 베이커리 프랜차이즈에서 20대 직원이 장시간 노동 끝에 사망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고용노동부가 해당 업체에 대한 특별 근로감독에 전격 착수했다. 이번 사태는 겉으로는 화려하지만 내부는 취약한 국내 서비스 산업의 노동 환경, 특히 청년층에게 집중되는 과도한 '열정페이' 실태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사회적 공분을 키우고 있다. 26세 청년, 사망 직전 주 80시간 노동 정황논란의 중심에 선 것은 서울을 비롯해 전국에서 매장을 운영 중인 '런던베이글뮤지엄'이다. 유족과 노동계에 따르면, 이 베이커리 인천점에서 근무하던 26세 청년 직원은 지난 7월 회사 숙소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되어 사망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 결과, 사망을 단정할 만한 기존 질병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족이 고인의 카카오톡 대화 내용 및 교통카드 기록 등을 분석한 결과, 고인은 사망 직전 주에 80시간이 넘는 초장시간 근로에 시달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현행 주 52시간 근무 상한제를 크게 위반한 수치다. 특히 고인은 사망 닷새 전 21시간을 연속으로 일하거나, 사망 전날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