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부모 흡연 시 자녀 흡연율 4배 높아…친구·교사도 영향

[데일리연합 남성현기자] 부모 형제, 자매 같은 가족이 담배를 피운다면, 청소년 자녀의 흡연율이 크게 치솟는 것으로 조사됐다.

친구 또는 교사 등이 흡연을 할 때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질병관리본부가 지난해 중·고교 학생 7만여 명을 조사한 결과, 부모 모두가 담배를 피울 때, 청소년인 자식이 흡연하는 비율은 17.8%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가족 가운데 흡연자가 없는 경우인 4.3%이 비해 무려 4배 이상 높은 수치다.

형제 또는 자매가 담배를 핀다면 해당 학생의 흡연율은 15.8%로 가족 중 흡연자가 없을 때보다 3배 이상 높았다.

특히 부모 가운데 어머니만 담배를 핀다면 자식의 흡연율은 13.6%로, 아버지만 흡연자일 경우 6.4%에 비해 2배 이상 많았다.

학교생활과 흡연율 사이에도 뚜렷한 상관관계가 확인됐다.

친한 친구가 담배를 핀다면 흡연율은 13.5%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17배나 높았고, 학교 안에서 교사 또는 학교 직원의 흡연을 봤다면 흡연율은 8.9%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2배가량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청소년 흡연에는 가족 또는 또래 집단의 환경이 큰 영향을 끼친다”며 “앞으로 금연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이같은 요인이 고려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기반 사이버 보안 위협 증가 및 대응 전략 강화 필요성 부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사이버 보안 분야에 새로운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 AI 기반의 지능형 지속 위협(APT) 공격은 그 정교함과 은밀성으로 기존의 보안 시스템을 쉽게 우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된다. AI는 악성코드 생성, 피싱 공격 자동화, 취약점 탐색 등 다양한 사이버 공격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생성형 AI 모델의 발전은 악성코드의 변종을 빠르게 생성하고, 인간과 구분하기 어려운 수준의 피싱 메일을 대량으로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고도화된 공격은 기존의 규칙 기반 보안 시스템으로는 방어하기 어렵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AI 기반의 지능형 보안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이다.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악성 행위를 탐지하고, 공격 패턴을 분석하여 예측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교육을 통한 인적 요소 강화도 중요한 부분이다. 피싱 공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링크를 클릭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협력을 통한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