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보기 좋은 약이 먹기도 좋다” 흰색약 선호도 1위



[데일리연합 남성현기자] 환자가 좋아하는 색깔로 약물을 만들면 환자가 약을 더 잘 먹게 돼 치료 기대효과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약대 임성실 교수팀은 지난해 서울의 한 2차 의료기관을 찾은 성인 환자 15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논문을 최근 약학회지에 게재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약물의 색깔로 흰색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40.9%로 가장 많았고 노랑(16.7%)과 초록(13.6%)이 뒤를 이었다.

평소 좋아하는 색깔 선호도에서 파랑(18.8%), 빨강(17.5%), 초록(12.1%)을 많이 택한 것과는 다른 결과다.

임성실 가톨릭대 약대 교수는 “약은 대개 흰색이라는 선입견이 작용한데다 흰 약이 깨끗하고 회복되기 빠를 거라는 이미지가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흰색 다음으로 선호되는 노랑과 초록도 약 복용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좋아하는 색깔로 약을 바꾼다면 약을 더 잘 먹게 될 것이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절반이 그럴 거라고 답했다.

 반면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4.3%였고 부정적으로 답한 사람은 25.7%으로 나타났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기반 사이버 보안 위협 증가 및 대응 전략 강화 필요성 부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사이버 보안 분야에 새로운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 AI 기반의 지능형 지속 위협(APT) 공격은 그 정교함과 은밀성으로 기존의 보안 시스템을 쉽게 우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된다. AI는 악성코드 생성, 피싱 공격 자동화, 취약점 탐색 등 다양한 사이버 공격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생성형 AI 모델의 발전은 악성코드의 변종을 빠르게 생성하고, 인간과 구분하기 어려운 수준의 피싱 메일을 대량으로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고도화된 공격은 기존의 규칙 기반 보안 시스템으로는 방어하기 어렵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AI 기반의 지능형 보안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이다.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악성 행위를 탐지하고, 공격 패턴을 분석하여 예측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교육을 통한 인적 요소 강화도 중요한 부분이다. 피싱 공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링크를 클릭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협력을 통한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