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OST 황태자 간종욱 X 속사포 래퍼 아웃사이더와 협업, 신곡 ‘나 (N.A)’ 7월 발표!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대희 기자 |  아웃사이더와 간종욱의 듀엣 싱글 ‘나 (N.A)'는 7월 8일 전 음원 싸이트를 통해 공개된다.

 

명품 속사포 래퍼 아웃사이더와 최근 같은 소속사 이나키스트 엔터테인먼트에서 한솥밥을 먹게 된 OST 황태자 간종욱의 콜라보레이션이 17년 만에 성사됐다. ‘외톨이’, ‘주변인’, ‘심장병’, ‘슬피 우는 새’ 등의 히트곡으로 2000-2010년대 음원, 음반 차트를 석권했던 아웃사이더와 메이퀸 OST '39.5', 압구정 백야 OST '내 사랑아‘ 등 수많은 OST 앨범을 통해 국내 가장 드라마틱한 보컬리스트 중 한명으로 손꼽히는 간종욱이 2004년 데뷔 이래 처음으로 목소리를 섞었다.

 

세상의 모든 아웃사이더들에게 전하는 진짜 아웃사이더들의 메시지 ‘나 (N.A)'

 

 

누구보다 강한 아웃사이더적 기질과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두 뮤지션. 고집스럽게 자신만의 길을 걸어온 두 남자 아웃사이더와 간종욱의 듀엣 싱글 ‘나 (N.A)'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에서 시작된 ’내가 진짜 나로 존재하기 위한 삶‘을 찾아 떠나는 여정을 ’가장 나다운 방식‘으로 풀어내었다.

 

이번 앨범은 스나이퍼사운드 시절 후배 가수이자 프로듀서로 활동 중인 관우와 아웃사이더의 2, 3, 4집을 함께 만든 팀엔지니어스의 이건호 기사가 오랜만에 뭉쳐 트렌디하고 세련된 레트로 사운드를 구현해냈다.

 

또한 다수의 개인전과 단체전을 진행하며 다양한 일러스트레이터 활동을 하고 있는 쟝봉 작가의 독특한 감각이 돋보이는 시네마 그래프 형식의 뮤직비디오에선 가짜와 진짜, 차별이 만연한 세상에 자기 역시 가짜라는 것을 알아버린 남성의 모습을 통해 그저 나라는 인격체로 대우받길 원하는 한 사람의 몸부림을 세밀하고 역동적으로 묘사했다.

 

올해 MSG워너비 활동을 비롯해 제 2의 전성기를 맞고 있는 고음 종결자 감성 보컬리스트 KCM, 슈퍼스타K 7 준우승자이자 싱어게인 40호 가수로 최근 활발히 활동 중인 천단비, 미스터트롯의 찐! 영탁의 아이돌 최초 프로듀싱 곡 ‘목말라’로 이슈가 되었던 영앤와일드의 리더 우주 등 다양한 장르의 신구 아티스트들과의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하고 있다.

 

단순히 솔로 뮤지션이 아닌 인사이더적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아웃사이더와 난치병 후종인대 골화증 투병생활을 이겨내고 올해 초 싱글 ‘괴물’ 발표 후 본격적인 음악 작업에 매진하며 가창에 특화된 보컬리스트만이 아닌 삶의 깊이를 담아내는 싱어송라이터로서의 음악적 행보를 걷고 있는 간종욱의 만남이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낼지 멀리서 지켜보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층 디지털 소외 심화, 사회적 연대 강화로 해결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현재, 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 비대면 문화가 일상화되고 키오스크, 모바일 앱을 통한 서비스 이용이 필수가 되면서, 디지털 기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권리마저 침해받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사회적 고립과 정보 접근성 불평등을 야기하며, 시급한 사회적 논의와 해결책 마련이 요구된다. 디지털 소외는 고령층의 건강, 금융, 복지 등 삶의 질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진료 예약, 모바일 뱅킹, 정부 지원금 신청 등 필수적인 서비스들이 디지털 환경으로 이동하면서, 디지털 접근성이 낮은 노인들은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큰 장벽을 느낀다. 또한, 비대면 소통 방식의 확산은 가족 및 사회 구성원과의 단절을 심화시켜 심리적 외로움과 고독감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키오스크 체험존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대부분 일회성이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