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불법 금품 수수 혐의’ 박기춘 의원 소환 조사

[데일리연합 남성현기자] 분양대행업체로부터 금품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는 새정치민주연합 박기춘 의원이 검찰에 출석했다.

검찰은 박 의원을 상대로 금품의 대가성 여부를 조사하고 구속영장 청구를 검토할 방침이다.

오늘(29일) 오전 10시쯤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한 새정치민주연합 박기춘 의원은 분양대행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은 사실을 시인했다.

박 의원은 앞서 분양대행업체 대표 김 모 씨로부터 금품을 받았다는 사실을 시인하는 자수서를 검찰에 제출하기도 했다.

박 의원이 김 씨로부터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는 금품은 명품 시계 7점과 가방 2개, 현금 등이며 액수는 억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2일, 김씨와 박 의원 동생의 자택을 압수수색한 검찰은 박 의원이 측근 정 모 씨를 자신의 사무실로 불러 김 대표로부터 받은 명품 시계와 가방을 건네주며 “김 대표에게 되돌려 주라”고 말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또 정씨가 김 대표를 만나 “박 의원의 지문을 지우고 원래 갖고 있었던 것처럼 보관해 달라”며 물건을 되돌려줬다는 관련자 진술을 확보하고, 지난 20일 정씨를 증거은닉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검찰은 오늘 박 의원을 상대로 김 씨와 주고받은 금품이 사업상 편의를 봐 준 대가성인지 조사하고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검토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기반 사이버 보안 위협 증가 및 대응 전략 강화 필요성 부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사이버 보안 분야에 새로운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 AI 기반의 지능형 지속 위협(APT) 공격은 그 정교함과 은밀성으로 기존의 보안 시스템을 쉽게 우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된다. AI는 악성코드 생성, 피싱 공격 자동화, 취약점 탐색 등 다양한 사이버 공격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생성형 AI 모델의 발전은 악성코드의 변종을 빠르게 생성하고, 인간과 구분하기 어려운 수준의 피싱 메일을 대량으로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고도화된 공격은 기존의 규칙 기반 보안 시스템으로는 방어하기 어렵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AI 기반의 지능형 보안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이다.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악성 행위를 탐지하고, 공격 패턴을 분석하여 예측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교육을 통한 인적 요소 강화도 중요한 부분이다. 피싱 공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링크를 클릭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협력을 통한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