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남이섬에서 펼쳐지는 '2015 레인보우 아일랜드 뮤직& 캠핑'

 

데일리연합 이수연 기자 ] 남이섬에서 펼쳐지는 MT형 페스티벌 '2015 레인보우 아일랜드 뮤직&캠핑'이1주 앞으로 다가왔다.

청춘의 아이콘이자 우리의 영원한 개구쟁이 '김창완 밴드', ‘2015 레인보우 아일랜드’ 페스티벌 단독으로 Band Set(밴드셋) 무대를 선보일 예정인 '빈지노', 데뷔 후 첫 페스티벌 출연을 결정한 슈퍼주니어의 '규현', 독특한 음악 색으로 대중의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밴드 '혁오', 그리고 '정기고', '에디킴', '그레이&로꼬', '술탄 오브 더 디스코', '바버렛츠' 등 각양각색 20여팀의 아티스트 라인업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2015 레이보우 아일랜드 뮤직&캠핑'.

올해로 5회를 맞는 '2015 레인보우 아일랜드 뮤직&캠핑'은 단순 음악 페스티벌을 넘어 뮤지션이 직접 기획하고 준비하는 공연을 선보일 것이라 예고해 팬들의 관심과 기대가 뜨겁다. 더불어 1년에 단 한번 주어지는 남이섬에서의 캠핑 기회로, 캠핑족들의 마음까지 사로잡고 있다.

올해의 ‘레인보우 아일랜드’ 페스티벌은 2일권 패키지만 판매하던 작년과 달리 1일권 티켓을 추가 오픈하며 1박 2일 간의 페스티벌 참여가 어려웠던 관객들에게 예매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혀 주는 희소식을 전했다.

'레인보우 아일랜드' 페스티벌의 부제 '당신의 지친 일상에 아름다운 쉼표 하나'에 걸맞게 이번 페스티벌은 천혜의 자연과 함께, 놀이 컨텐츠도 다양하게 준비한다.

김창완 밴드의 '청춘들을 위한 축배연사' 선창, 에디킴과 '맥주 빨리 마시기 대회', 술탄 오브 더 디스코와 함께 하는 '철인 5종 경기', 소심한 오빠들과의 '명랑 대운동회', 박새별의 프로포즈 이벤트 ‘레인보우 러브레터’ 등 아티스트와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을 준비했고, 플리마켓, BBQ ZONE 등을 마련하여 관객들이 심심할 틈 없는 1박 2일을 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소년상회로 유명한 오너 쉐프 '채낙영'은 '레인보우 아일랜드, 페스티벌 시그니처 푸드'를 만들어 현장 판매와 함께 브런치 쿠킹쇼 까지 진행할 예정이고 귀여운 외모와 섹시한 몸매의 SNS스타 'DJ 소다'가 출연해 관객들과의 댄스타임을 함께 한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기업, 공급망 ESG 평가 의무화 및 녹색 전환 파이낸싱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기업 '테크노비전(TechnoVision)'이 오는 2026년부터 모든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를 의무화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녹색 전환을 위한 파이낸싱 지원을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강화되는 전 세계적인 ESG 규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분석된다. 테크노비전은 이번 발표에서 협력사들이 탄소 배출량 감축, 노동 인권 보호, 윤리 경영 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인 ESG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 협력사들이 ESG 전환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ESG 성과 연계형 대출 금리 우대, 녹색 기술 도입을 위한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실제적인 변화를 유도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최근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의무가 강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입법 논의가 활발히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