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튀기면 콜레스테롤 수치 최고 3배 상승해



데일리연합 윤병주 기자] 닭ㆍ오리고기를 조리하면 생고기일 때보다 같은 무게당 콜레스테롤 함량이 최고 3배까지 증가하지만, 비타민 A(레티놀) 함량은 조리 뒤 오히려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은 충남대 식품공학과 이기택 교수팀이 시판 중인 닭ㆍ토종닭ㆍ오리고기를 7가지 조리법으로 요리한 결과 닭ㆍ오리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조리 후에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닭고기의 경우 날개살과 다리살의 콜레스테롤 함량(100g)은 조리 전 각각 50.2㎎, 62.0㎎이었고, 튀긴 뒤에는 107.3㎎, 94.3㎎으로 높아졌다.

이번 연구에서는 굽기ㆍ볶기ㆍ찌기ㆍ삶기ㆍ튀기기ㆍ로스팅(roasting)ㆍ전자레인지 등의 조리법을 이용했다. 또한, 조리법에 따른 콜레스테롤ㆍ비타민 A(레티놀)ㆍ비타민 E(알파-토코페롤)의 함량 변화를 부위별(가슴ㆍ날개ㆍ다리)로도 조사했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콜레스테롤은 비타민 D, 호르몬 합성 등에 필수적인 물질로 생선ㆍ고기ㆍ계란 등 동물성 식품에 존재하지만 과량 섭취하면 혈관 건강에 해로운 혈중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해 동맥경화나 고(高)지혈증 등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밝혔다.

조리 과정을 거친 닭ㆍ오리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상승한 것은 가열 조리 도중 고기에서 수분이 나간 데다 고기의 세포막(膜)이 파괴돼 고기 속 콜레스테롤이 외부로 유출된 탓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식육을 가열 조리하면 수분과 지방이 손실되고 특히 지방은 액체로 변해 지방 세포로부터 빠져 나온다는 앞선 국내 연구결과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닭 날개살과 가슴살의 경우 전통적인 찌기 조리법을 사용했을 때 콜레스테롤 함량의 증가가 가장 적었다.

토종닭의 콜레스테롤 함량(100g당)은 조리 전 가슴살 43.9㎎, 날개살 53.9㎎, 다리살 67.9㎎으로 일반 닭에 비해 약간 적었지만 조리 과정을 거치면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하는 것은 일반 닭과 다를 바 없었다.

토종닭 날개살은 찌기(126.9㎎)와 튀기기(133.0㎎) 조리 뒤 가장 높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보였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닭과 토종닭의 가슴살은 다리살, 날개살에 비해 콜레스테롤과 레티놀, 알파-토코페롤 함량이 모두 낮았다"고 밝혔다.

한편 오리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체로 닭고기보다 높았다.

이 교수팀이 실시한 72가지 시료(닭ㆍ토종닭ㆍ오리 등 세 종류의 가금육, 가슴ㆍ날개ㆍ다리 등 세 부위, 생고기ㆍ굽기 등 모두 8가지 조리법) 가운데 최고의 콜레스테롤 함량(100g당)을 기록한 것은 전자레인지에서 조리한 오리의 날개살(233.8㎎)로, 조리 전(95.6㎎) 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이 교수팀은 논문을 통해 "오리 다리살의 100g당 콜레스테롤 함량은 23.2㎎으로, 가슴살(60.9㎎), 날개살(95.6㎎)보다 훨씬 적었다"라며 "튀기기(71.5㎎)ㆍ찌기(72.3㎎)ㆍ로스팅(73.7㎎) 조리한 오리 다리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원재료(조리 전)보다 2∼3배 높았다"고 지적했다.

콜레스테롤과는 정 반대로 닭ㆍ토종닭ㆍ오리의 부위별 레티놀 함량은 조리 뒤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레티놀(동물성 비타민 A)은 동물의 간ㆍ유제품ㆍ계란 등에 풍부하고, 피부의 주름개선ㆍ면역 증진ㆍ항산화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이 교수팀은 "닭과 토종닭의 경우 볶기ㆍ튀기기 조리 뒤 알파-토코페롤의 함량이 높아졌다"며 "이는 조리 중에 사용된 콩기름에 토코페롤이 산화방지제로 사용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했다. 토코페롤은 항(抗)산화 비타민인 비타민 E의 한 종류로 녹황색 채소ㆍ콩류ㆍ돼지의 간 등에 많이 들어 있다.

이 연구결과 '조리방법에 따른 가금류의 부위별 지용성 영양성분 함량 변화 조사(콜레스테롤, 레티놀 및 알파-토코페롤)'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ESG 공시 의무 강화,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 시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공시 및 실사 의무가 강화되면서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전환점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국제적인 규제들이 고도화되면서, 국내 기업들은 수출 및 글로벌 공급망 유지를 위해 더욱 철저한 ESG 경영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최근 EU 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논의되는 CSDDD는 기업이 인권 및 환경 측면에서 자사의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식별하고 예방, 완화하도록 의무화한다. 이는 유럽 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유럽 시장에 진출하거나 유럽 기업과 거래하는 비EU 기업들에게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급망 내의 중소기업까지 ESG 리스크 관리를 확대해야 함을 의미한다. 과거의 자율적인 공시를 넘어, 이제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 강제적인 실사 의무가 도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규제 환경의 변화는 한국 기업들에게 이중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먼저, 복잡하고 다양한 해외 규제에 대한 이해와 준수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자체적인 ESG 성과 관리뿐만 아니라 협력사의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