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다음카카오, '다음 온라인 만화 공모대전'

[데일리연합 윤병주 기자]다음카카오는 오늘 CJ E&M(대표 김성수),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이사장, 이희재)과 공동 주관하는 '다음 온라인 만화 공모대전'을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올해로 3회를 맞이하는 다음 온라인 만화 공모대전은 해를 거듭할수록 다수의 작가와 성공작을 배출하며 참여의 열기를 더하고 있다.

현재까지 공모전 수상작 가운데 총 5건의 영상 판권이 판매됐으며, 많은 네티즌의 사랑을 받은 웹툰 '그놈은 여고생'과 '홍도'는 중국 주요 만화 사이트인 'QQ'와 'U17'에 연재를 시작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쾌거를 거뒀다.

특히 올해는 더 많은 웹툰 작가들이 공모전에서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참여의 폭을 넓혔다. 연재 경험이 없는 순수 아마추어 작가는 물론, 1년 미만의 타매체 연재 경험이 있거나 3권 이하의 단행본을 출판한 신인급 작가까지 참가 자격을 확대했다.

오는 7월 7일부터 13일까지 참가를 희망하는 작가는 작품 기획서와 1화 완성 원고와 캐릭터 디자인을 접수 메일(webtoon_contest@hanmail.net)로 제출하면 된다.

공모전 수상작은 예선, 본선, 최종의 세 차례 심사를 거쳐 결정된다. 예선에 진출한 20명의 작가에게는 각 200만원의 작품개발비가 지급되며, 본선 통과자 8명에게는 300만원의 작품개발비와 함께 'CJ E&M Creator’s Camp'의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

'CJ E&M Creator's Camp'는 본선 심사 후 2개월 간 진행되는 작가 육성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는 업계 관계자, 기획자 등 콘텐츠 전문가로부터 작품에 대한 개발과 프로듀싱을 받을 수 있다.

본선에 오른 작품 가운데 5편이 공모전 최종 수상작으로 선정되며, 수상 작가에게는 최대 1천만원의 상금과, 편리한 웹툰 작업을 돕는 와콤의 최신형 신티크, 다음 만화속세상의 정식 연재의 기회가 주어진다.

또한 CJ E&M은 최종 수상작 중 1~2작품의 영상화 판권을 구입해 영화, 드라마 등 2차 영상 콘텐츠로의 확장을 추진하게 된다.

온라인 만화 공모대전이 진행되는 전 과정에서 다음카카오와 CJ E&M은 참가자들의 안정적인 창작 환경 조성을 위해 작품 개발비, 프로듀싱 교육 등 체계적인 실력 향상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다음 웹툰 서비스 총괄 박정서 담당자는 "다음 온라인 만화대전을 통해 웹툰 작가를 희망하는 많은 이들이 자신의 기량을 맘껏 펼치고 데뷔의 꿈을 이룰 수 있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재능과 실력을 두루 갖춘 신인 웹툰 작가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건전한 콘텐츠 창작 및 유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기업의 탄소중립 노력 가속화: 녹색금융 확대와 정부 정책의 영향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기업들의 탄소중립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글로벌 탄소 감축 목표와 더불어 녹색금융의 확대, 그리고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지원이 맞물린 결과이다.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탄소 배출 감축에 대한 압력이 커짐에 따라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투자, 친환경 기술 도입,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프로세스 개선 등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특히 녹색금융의 확대는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녹색채권, 지속가능연계대출(SLL) 등 녹색금융 상품을 통해 기업들은 저렴한 자금을 조달하여 친환경 사업에 투자할 수 있다. 이러한 금융 지원은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 속도를 높이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 또한 기업들의 탄소중립 노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탄소세 도입, 탄소배출권 거래제 강화, 친환경 기술 개발 지원 등 다양한 정책들이 기업들의 탄소 감축을 유도한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는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략 수립과 이행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