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은행 예금금리 2%대 무너져

[데일리연합 박혁진 기자]3월 기준금리 인하의 여파로 2%대의 은행 예금금리가 무너지며, 사상 처음 1%대에 진입했다.

기준금리 1.75%의 초저금리 영향으로 신규, 잔액 기준 여수신금리가 모두 두달째 사상 최저 수준을 갈아치우고 있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3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평균 저축성 수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1.92%로 한 달 전(2.04%)보다 0.12%포인트(p) 떨어졌다.

은행 예금금리가 1%대로 떨어진 것은 통계를 시작한 1996년 이후 처음이다.

한은 금융통계팀 강준구 과장은 "작년과 올해 세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하 등의 영향으로 이달에도 금리의 추세적 하락 흐름이 이어졌다"고 했다.

지난달 1년 만기 은행 정기예금 금리 평균은 연 2.01%로 전월보다 0.1%p 떨어졌고, 정기적금 금리는 연 2.22%로 0.09%p 하락했다.

금리대별 정기예금 가입비중은 2% 미만이 66%로 전월(30.7%)보다 무려 35.3%p 늘었다. 반면 2~3%미만은 34%로 전월(69%)보다 35%p 감소했다. 따라서 금리가 3%이상인 신규예금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잔액기준 총수신금리는 연 1.77%로 전월(1.83%)보다 0.06%p 하락했다. 은행권의 대출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61%로 전월(3.86%)보다 무려 0.25%p나 떨어졌다.

기업 대출금리는 3.81%로 전월(4.02%)보다 0.21%p 하락했고, 가계대출 금리는 3.21%로 전월(3.48%)보다 0.27%p가 내렸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2.97%) 금리는 전월보다 0.27%p 하락했다. 집단대출(3.2%), 예적금담보대출(3.65%), 보증대출(3.34%), 일반신용대출(4.75%)은 각각 0.1%, 0.1%, 0.07%, 0.13% p씩 떨어졌다.

강 과장은 "가계대출 중 대부분이 주택담보대출 상품"이라며 "4월에도 안심전환대출이 진행됨에 따라 신규취급액기준 평균 대출금리는 지속적으로 내려갈 전망"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상호저축은행의 1년짜리 정기예금 금리는 연 2.49%, 신용협동조합은 2.53%, 상호금융 2.23%, 새마을금고 2.48%로 전월보다 각각 0.12%, 0.06%, 0.07%, 0.0%p씩 낮아졌다.

대출금리(일반대출 기준)도 상호저축은행 12.07%, 신용협동조합 5.02%, 상호금융 4.44%, 새마을금고 4.43%로 각각 0.11%, 0.04%, 0.07%, 0.09%p씩 하락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열악한 노동 환경 개선 촉구 목소리 높아져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건설 현장, 택배 배송 등 야외 작업장에서의 열사병 발생 위험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와 관련 기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주 서울 지역의 낮 최고 기온은 37도를 넘어섰고, 습도까지 높아 체감 온도는 40도에 육박했다. 이러한 극심한 폭염 속에서 야외 작업자들은 열사병, 탈수 등 건강상의 위험에 직면하고 있으며, 일부 사망 사고까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계는 정부와 기업에 작업 환경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분한 휴식 시간 보장, 냉방 시설 설치, 개인 보호 장비 제공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폭염 특별 휴가제도 도입과 같은 정책적 지원을 강조하며, 단순한 대책이 아닌 근본적인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주의보 발령 시 작업 중지를 권고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많은 야외 작업자들이 생계 때문에 작업 중지를 선택하기 어려운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