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대학졸업생 4명 중 1명은 알바생 또는 백수


[데일리연합 박혁진 기자]대학교를 졸업한 4명 중 1명은 현재 무직이거나 아르바이트 등 불안정한 일자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임금근로자가 실제 받는 임금 수준은 입사 전 희망임금보다 10%가량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대학 졸업임금근로자의 희망임금 충족과 고용' 연구논문은 2011년 대졸자 47만9472명을 대상 가운데 2014년 하반기를 기준으로 아르바이트 등이 아닌 임금근로자로 취업한 졸업생은 35만9859명으로 전체의 75.1%를 기록했고 나머지 24.9%는 무직이거나 아르바이트와 같이 임시직인 것으로 밝혀졌다. 성별로는 남자가 78.3%로 여성보다 6.3%포인트 높았다. 학력수준 별로는 전문대학 졸업자가 75.8%로 4년제 대학 졸업자보다 1.2%포인트 높았다.

이들의 실제 임금도 희망 임금과 차이를 보였다. 취업준비생이었을 때 실시한 표본조사에 따르면 월 평균 희망임금은 223만8000원이었다. 이는 응답내용 중 상하위 1%를 제외한 평균치다. 성별로는 여성의 희망임금이 206만3000원으로 남성(241만2000원)의 85.5%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희망임금 조사 1년 후인 2012년 취업상태인 응답자들이 받은 임금은 평균 201만1000원이었다. 상하위 1%를 제외하고 여성은 평균 177만원, 남성은 224만9000원이었다. 입사 후 받은 월급이 당초 희망임금의 88.9%, 여성은 78.7%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논문을 작성한 박천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원은 "대졸 청년층의 고용률이 낮은 까닭은 고학력으로 높아진 희망임금에 비해 현실 노동시장에서 실제임금을 통한 충족이 미흡하기 때문"이라며 "임금구조의 변화를 통해 성별, 기업규모별, 고용지위별 격차를 개선하고 산업수요에 맞춘 인력양성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고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2025 대한민국을 빛낸 13인 대상’ 시상식, 22일 서울서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2025 제8회 대한민국을 빛낸 13인 대상’ 시상식이 오는 10월 22일 오후 2시, 서울 마포 가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을 빛낸 13인 대상 조직위원회가 주관하고 SCF CHANNEL KOREA와 장애인문화신문이 공동 주최하며, 아리랑글로벌경제문화재단, 중국동포연합중앙회, 성공리 마을 등이 후원하고 JBANK, SKX허황후가 협찬사로 참여한다. ‘대한민국을 빛낸 13인 대상’은 정치·경제·자치행정·문화예술·체육 등 각 분야에서 국가 발전과 사회 통합에 기여한 인물의 공적을 기리는 상으로, 올해로 8회를 맞이했다. 조직위원회는 매년 공정성과 전문성에 기반한 심사를 통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인물을 선정해 왔다. 올해 본상 부문은 ▲국가발전공헌대상 ▲의정발전공헌대상 ▲의료발전공헌대상 ▲세계평화봉사공헌대상 ▲범죄예방공헌대상 ▲교육발전공헌대상 ▲금융플랫폼발전공헌대상 ▲문화발전공헌대상 ▲사회발전공헌대상 ▲한류문화발전공헌대상 ▲문화예술발전공헌대상 ▲한국음식문화발전공헌대상 ▲AI블록체인공헌대상 등 총 13개 부문으로 구성됐다. 특별상으로는 ▲한국문화발전부문 ▲한국사회복지발전부문 ▲한국경제발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