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김재욱 기자 | 영양군은 지난 29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한울 원전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변경(영양군 포함)'을 승인하여 '수비면 수하3리'의 비상계획구역 포함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6월 26일 재설정(구역 포함) 관련 변경(안)을 원안위에 신청했고, 2개월간의 검토 결과 최종 승인됐다. 지난 2015년 '방사능방재법'개정·시행에 따른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확대․세분화 과정에서 영양군은 미포함되었으며, 최근 신한울 1, 2호기 준공 및 3, 4호기 착공(32~33년 준공)으로 세계 최대 원전 밀집단지 조성에 따른 주민 안전 확보 차원에서 조정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또한 한울 원전은 비상상황시 약 3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구호소가 필요함에도 울진군에는 15,000명 정도 수용 가능하여 즉각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인접 구호소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었다. 무엇보다 경북 초대형산불 발생을 계기로 대형 재난의 철저한 사전 대비를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재난체계 확대가 필요하다는 원안위와 경북도, 영양군이 공감대를 이루어지면서 비상계획구역 편입의 결실을 맺게 됐다. 아울러 이번 조치로 발전량에 따른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홍종오 기자 | 월성원자력본부(본부장 김한성)는 지난 27일 경주시 감포읍 소재 한국국제통상마이스터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동경주 미래세대 방사선 탐구 과학 교실'을 개최했다고 전했다. 방사선 탐구 과학 교실은 미래 주역인 청소년들의 원자력과 방사선 분야의 기초지식을 키우고 관련 분야 진로 탐색 기회 제공을 위해 월성본부에서 동경주 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시행하는 특강이다. '이날 특강에서는 먼저 학생들에게 한수원 월성원자력본부에 대한 소개를 하고 원자력발전소 및 방사선에 관련된 기초지식과 방사선 활용 분야를 알려주는 이론교육을 실시했다. 이후 학생들은 교실, 운동장, 복도, 체육관 등 학교 곳곳을 누비며 학교 주변에 생활 방사선이 얼마나 나오는지 직접 방사선계측기로 측정한 뒤 그 측정값을 이용하여 방사선 지도를 그려보고 조별 발표를 해보며 방사선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그리고 수업 후 질의응답 시간에는 그동안 원자력발전소 및 방사선에 대한 궁금한 점과 방사선을 활용한 산업 및 진로 탐색에 대한 토의를 하며 장래 희망을 키우는 뜻깊은 시간을 가져보기도 했다. 방사선 탐구 과학 교실에 참여한 학생들은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