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인천 11.6℃
  • 맑음수원 12.8℃
  • 맑음청주 12.9℃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맑음전주 13.0℃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여수 13.8℃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천안 12.0℃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경주

주낙영 경주시장,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는 단연 경주

숙박, 공항 등 일부 오해를 프리젠테이션 등을 통해 객관적 자료로 완전 불식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장우혁 기자 | “2025 APEC 정상회의의 가장 최적도시는 경주입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내년 11월 우리나라에서 열릴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 선정을 며칠 앞두고 강한 유치 의지를 보였다.

 

2021년 7월 전국에서 최초로 APEC 유치 도전장을 내고 약 3년간 전 시도민들이 혼연일체가 되어 경주유치에 최선을 다한 결과 APEC은 단연 경주라는 국민적 공감대가 완성됐다며 유치라는 좋은 결과로 보답하고 싶다고 소회를 말했다.

 

최근 일부에서 오해되던 숙박에 대해 경주는 화백컨벤션센터 회의장 주변 3km 이내에 5성급 호텔을 비롯해 대규모 초특급 리조트인 한화리조트(395실), 켄싱턴리조트(555실), 소노벨경주(417실), 블루원 패일리 콘도(109실) 및 45평-250평 규모의 프라이빗(187실) 등 103개소, 4463실의 정부대표단 수요대비 157% 객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반경 10km 이내에는 1,333개소 13,265실을 확보하고 있어 경제대표, 미디어 관계자, 행사요원 등의 수요대비 280% 객실 확보하고 있다.

 

특히 블루원 프라이빗 초특급 스위트 187실은 중소 규모 회원국 및 초청국 대상으로 활용해도 된다. 이뿐만이 아니다. 대외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럭셔리한 연수시설도 준비돼 있다. 황룡원(43실), 교원드림센터(104실), 농협경주연수원(235실) 등은 정상용 스트위룸으로 손색이 없다.

 

2005 부산 APEC 정상회의 시 소요된 회의장 및 기능실 사용면적 26,185㎡와 비교해 28,199㎡로 충분한 회의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회의장, 전시실, 숙박 등 보문단지 내 3분 거리 이내 모든 인프라가 집적되어 회의진행 및 정상 경호의 최적의 요새다.

 

또한 50분대의 김해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포항경주공항, 울산공항 4곳을 활용할 것으로 그 중 울산공항을 제외한 3개가 군사공항이다. 이는 기상악화나 일정변경 등 상황변화에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고 혼잡한 민간공항에 비해 통제와 관리가 용이하여 비용적 이점이 크고 무엇보다 국빈 의전과 경호 측면에서 최적의 선택이 가능하다.

 

최근 포항경주공항 국제선 부정기편 취항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해 경주 최단거리 공항에서 국제선 운항도 기대되고 있으며, KTXSRT 등 완벽한 교통망도 빼놓을 수 없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얼마 전 관계기관 현장실사에서도 경주가 숙박, 회의장, 공항 , 경호안전 등 모든 부문에서 APEC 개최도시로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았고, 최종 프리젠테이션을 통해서도 객관적 근거를 갖고 논리적으로 충분한 설명을 통해 위원들의 우려를 말끔히 해소 했다.”면서 일부 오해를 완전 불식시켰다.

 

또한 “경쟁 도시들은 APEC 개최 효과가 국한될 수밖에 없지만, 경주는 각료회의를 비롯한 200여 회의를 필요시 대구, 울산, 부산, 경남의 동남권 전체로 파급력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방시대 국가균형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도 매우 중요하다.”며 경주 당위성을 피력했다.

 

더불어 주낙영 시장은 “경주는 APEC의 모든 준비를 마쳤다. 이제 남은 것은 오직 경주유치뿐이다. 마지막 까지 혼신을 다 하여 반드시 경주에 유치될 수 있도록 사즉생의 각오로 반드시 유치 시키겠다.”며 강한 성공의지를 피력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관세청, ‘수출 이(e)-로움’ 정책으로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 품목분류(HS) 코드 첫 공개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관세청은 10월 31일 전자상거래 수출지원을 위한'수출 이(e)-로움'정책의 일환으로,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 리스트와 품목분류(HS) 코드를 최초로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하는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은 실제 수출자료를 기반으로 선정된 것으로, 해당 품목의 품목분류(HS) 코드를 제공하여 수출기업이 자사 물품을 보다 쉽게 파악하고 정확하게 신고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수출기업이 세관에 신고하는 품목분류(HS) 코드 10단위에는 특정 품목으로 분류되지 않는 나머지 상품을 통합한 ‘기타(other)’ 항목이 많아, 해당 코드만으로 상품의 세부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상위 분류인 품목분류(HS) 코드 4단위와 6단위를 함께 제공하여 유사 품목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분류 오류를 줄여 수출신고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공개된 품목 내역을 보면 화장품, 음반, 의류, 전자기기, 식품 등이 주요 수출품목군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케이(K)-뷰티, 케이(K)-콘텐츠, 케이(K)-패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