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ADNOC, '미래의 노동 인구' 조사 발표

휴스턴, 2019년 3월 13일 -- STEM 밀레니얼과 Z 세대 인재 중 거의 절반이 석유와 가스 산업에서 경력을 쌓는 데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달 12일, HIS Markit가 개최하는 세계 최고의 에너지 행사인 CERAWeek에서 아부다비국영석유공사(Abu Dhabi National Oil Company, ADNOC)가 발표한 제1회 세계 '미래의 노동 인구(Workforce of the Future)' 조사에 따르면, 석유와 가스 산업이 과학, 기술, 공학 및 수학(attracting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인재를 유치하는 데 있어 치열한 경쟁에 직면하고 있다고 한다. STEM 밀레니얼과 Z 세대(Generation Z) 중 44%가 석유와 가스 분야의 경력을 쌓는 데 관심이 있는 것에 비해, 77%가 기술 부문에, 58%가 생명 과학과 제약 부문에, 그리고 57%가 건강관리 부문에서 경력을 쌓는 것에 관심을 보였다.

석유와 가스 산업이 STEM 인재를 유치하고, 제4차 산업 시대를 지원하고자 ADNOC이 석유와 가스 산업의 미래 노동력과 고용 경향 조사를 의뢰했다. 이는 ADNOC의 석유&가스 4.0의 사명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 사명은 인재를 양성하고, 자원 최적화를 위해 최신 기술을 적용하는 역동적이고 수행 중심의 문화를 장려함으로써, 에너지와 더욱 고가치 제품에 대한 증가하는 세계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일조하는 것이다.

이 조사에서는 북미, 유럽, 아시아 및 중동에서 세계 경제 대국과 석유&가스 생산국 및 소비국을 포함하는 10개국의 15~35세 STEM 학생과 젊은 전문가를 인터뷰했다. 또한, 석유와 가스를 포함해 STEM과 관련된 여러 산업에서 이들의 인식과 더불어 이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와 이들 산업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가치를 살펴봤다.

핵심 조사 결과:

- STEM 밀레니얼과 Z 세대가 잠재적인 경력 선택을 하게 되는 5대 동력원은 "임금", "일-생활 균형", "직장 안정성", "직업 성취", "좋은 근무 환경"이었다.

- 젊은 STEM 인재들은 석유와 가스 산업을 높은 임금과 연결시켰으며, 석유와 가스 산업을 중요한 산업으로 여기고 있었다. 이들이 생각하는 석유와 가스 산업의 세 가지 긍정적인 속성은 "임금이 높다", "국가의 경제와 발전에 중요하다", "인류에게 꼭 필요한 산업이다"라는 것이었다.

- STEM 밀레니얼과 Z 세대는 신기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것으로 여겨지는 산업에 가장 큰 관심을 보였다. 전 세계적으로 42%가 신기술이 석유와 가스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56%는 신기술이 건강관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53%는 신기술이 생명과학과 제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73%는 신기술이 기술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UAE 국무장관 겸 ADNOC 그룹 CEO인 Dr. Sultan Ahmed Al Jaber는 "ADNOC의 '미래의 노동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STEM 밀레니얼과 Z 세대가 석유와 가스를 신기술과 더 많이 연결할수록 석유와 가스 산업에서 경력을 쌓는 데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고 한다"라며 "석유와 가스 산업은 기술의 첨단 위치에 자리 잡아야 하며, 획기적인 혁신이 석유와 가스 사업의 모든 측면(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가치망 전반에 걸쳐)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줘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제4차 산업 시대로 접어드는 시점에서 석유와 가스 산업 종사자들은 서로 협력하고, 기술 산업 파트너들과 함께 역동적인 석유와 가스 산업이 우수한 기술 능력을 갖춘 젊은 인재들에게 제공하는 흥미진진한 기회를 더욱 제대로 부각시켜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STEM 밀레니얼과 Z 세대가 석유와 가스 산업이 미래의 산업(45%)인지 과거의 산업(44%)인지를 두고 의견이 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를 보면, STEM 밀레니얼과 Z 세대가 보기에 직업적으로 성공하는 데 가장 중요한 기술과 석유와 가스 산업에서 경력을 쌓는데 가장 중요한 기술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보 기술과 컴퓨터' 기술(37%)과 '창의성과 혁신적인 사고'(33%)가 미래에 성공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술 세트로 여겨지는 반면, 석유와 가스 경력에서 중요한 기술로 'IT와 컴퓨터'와 '창의성과 혁신적인 사고'를 꼽는 이는 18%에 불과했다. 마찬가지로 26%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미래에 직업적인 성공을 거두는 열쇠라고 보는 반면, 프로그래밍 언어가 석유와 가스 산업에서 중요한 기술이라고 보는 비율은 11%에 불과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취업 시장 경험과 STEM 과목에 관한 제3차 교육이 석유와 가스 부문 경력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중등학교 연령대의 STEM 학생 사이에서는 이 인식이 낮은 반면(석유와 가스 부문 경력에 관심있는 비율이 37%), 젊은 전문가 사이에서는 그 비율이 약 절반(51%)으로 올랐다. 이는 14포인트가 증가한 수치다.

Dr. Al Jaber는 "석유와 가스는 기술과 혁신의 최전선에 있는 미래의 산업"이라며 "이는 예전에도 항상 그랬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이야말로 STEM 인재들이 석유와 가스 산업에 합류하기에 흥미진진한 시기"라면서 "이는 석유와 가스 산업이 석유&가스 4.0 사명을 추진하고, 운영 전반에 걸쳐 디지털과 기술 변혁을 위해 새로운 기술과 파트너십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ADNOC의 제1회 세계 '미래의 노동 인구' 조사 결과 사본은 www.adnoc.ae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PSB Research에 관한 추가 정보는 www.psbresearch.com을 참조한다.

ADNOC에 관한 추가 정보는 www.adnoc.ae를 참조한다.

사진 - https://mma.prnewswire.com/media/834552/Workforce_of_the_Future_Infographic.jpg   

"Workforce of the Future" - Survey Findings Infographic


ADNOC ---Tuesday Meeting with Yergin


"Workforce of the Future" Survey - Cover page


"Workforce of the Future" - Survey Findings Infographic

ADNOC ---Tuesday Meeting with Yergin

"Workforce of the Future" Survey - Cover page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목 졸린 언론".. 국경없는 기자회, 대선 후보에 '언론 자유 회복' 최후통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국제 언론 감시단체 국경없는 기자회(Reporters Without Borders, RSF)가 대한민국 대선 후보들에게 언론 자유 수호에 대한 확고한 공약을 요구하며, 윤석열 정부에서 본격화된 언론 탄압을 종식시킬 것을 촉구했다. RSF는 23일 성명을 통해 “윤석열 정권에서 언론의 자유는 뚜렷하게 위축됐으며, 이는 국제 지표로도 명확히 드러난다”며, 2025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한국이 6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의 43위에서 불과 3년 만에 18계단 하락한 수치로, 오랫동안 유지해온 ‘동아시아 언론 자유의 리더’ 지위를 상실한 결과다. 특히 RSF는 “만약 최근 국회에서 계엄령이 저지되지 않았다면, 대통령에게 전례 없는 언론 통제권이 부여됐을 것”이라며 민주주의 근간이 위협받을 뻔했다고 경고했다. RSF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임기 동안 언론을 향한 조직적 압박이 이어졌다고 비판했다. “비판 보도를 ‘가짜 뉴스’로 낙인찍으며 기자들을 반복적으로 공격했다”며, “지난 3년간 14개 매체의 기자들이 수사, 고소, 기소 등의 법적 조치를 당했으며, 대부분 명예훼손 혐의였다”고 밝혔다.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