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중구, '불법유동광고물 수거보상제' 실시 - 중구청




중구(구청장 최창식)는 저소득층 생활안정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2월부터 10월 말까지 '불법유동광고물 수거보상제'를 실시한다.

'불법유동광고물 수거보상제'는 거리나 전신주에 무차별적으로 부착된 벽보ㆍ전단 등 불법광고물을 수거해 올 경우 소정의 수거비용을 지급하는 사업으로 중구가 지난 2005년 10월부터 전국 최초로 시행하였다.

특히 올해는 지난달 현수막 게시대 철거와 함께 '현수막 Zero 구(區)'를 선언한 중구가 단속을 강화하고자 4월에서 2월로 앞당겨 실시한다.

이를 위해 각 동 주민센터에서는 오는 2월 4일까지 저소득층 구민 150여 명을 모집하여 불법유동광고물 주민정비반을 구성해 2월 중순부터 수거보상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수거대상은 가로수, 가로등주, 신호등 등 공공시설 및 사설건물에 부착된 벽보, 포스터, 전단지, 스티커 및 현수막 등이다. 보도 또는 가드레일에 설치되었거나 주요 도로변, 주택 밀집지역에 부착된 광고물도 해당된다. 일수나 노래방 등 무차별 배포되는 명함형 전단도 마찬가지다. 특히 청소년 보호 및 선도를 저해할 우려가 있는 전단지 등은 중점 수거한다.

광고물별 지급단가는 현수막의 경우 3㎡ 이상 1장에 1천 원, 그 미만은 500원이다. 벽보나 포스터는 30cm×40cm를 기준으로 이상은 1장당 100원, 미만은 50원이며 10cm×10cm 기준인 스티커의 경우 이상은 200원, 미만은 100원이다. 명함형을 포함한 전단지의 단가는 1장당 10원이며 청소년 유해광고가 있는 전단지는 1장당 30원을 지급한다.

그러나 다른 시ㆍ구에서 수거한 불법광고물은 보상금을 지급하지 않으며 실내에 부착된 광고물이나 아파트 단지내 부착물, 선거용 홍보물, 지정게시대에 부착된 광고물, 배포ㆍ부착되지 않은 인쇄물(명함형 전단 제외) 등도 보상하지 않는다.

많은 구민들에게 참여의 기회를 골고루 제공하기 위하여 보상금은 1인당 1주일에 2만 원, 월 10만 원 이내로 한정 지급한다.

이 사업은 직접 벽보ㆍ전단 등을 수거하는 구민들이 불법 광고물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한편 구청 직원들이 도시미관 정비를 위하여 어떤 일들을 하는가를 홍보하는 계기가 될 정도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에는 209명이 참여해 20만7천887건을 수거, 1천379만9천 원의 보상금을 받았으며 2014년에는 161명이 참여, 19만8천702건을 수거, 941만8천 원의 보상금을 받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기업, 공급망 ESG 평가 의무화 및 녹색 전환 파이낸싱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기업 '테크노비전(TechnoVision)'이 오는 2026년부터 모든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를 의무화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녹색 전환을 위한 파이낸싱 지원을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강화되는 전 세계적인 ESG 규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분석된다. 테크노비전은 이번 발표에서 협력사들이 탄소 배출량 감축, 노동 인권 보호, 윤리 경영 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인 ESG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 협력사들이 ESG 전환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ESG 성과 연계형 대출 금리 우대, 녹색 기술 도입을 위한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실제적인 변화를 유도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최근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의무가 강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입법 논의가 활발히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