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인천 율목도서관, 무한상상실 운영 완료 - 인천광역시도서관발전진흥원

인천 율목도서관(관장 배창섭)이 2015년 한 해 동안 창작클럽 오감글쓰기를 비롯하여 총 6개의 무한상상실 프로그램 운영을 성황리에 마치고 2016년 더욱 알찬 무한상상실 프로그램으로 찾아올 것이라고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는 무한상상실은 과학관, 도서관, 주민센터 등 생활공간에 설치되는 창의적인 공간으로 국민의 창의성, 상상력,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를 직접 제품으로 시험·제작하거나 UCC 제작, 스토리 창작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전국 58개소 중 인천지역에는 거점센터인 인천대학교 무한상상실과 율목도서관을 비롯 3개의 소규모 무한상상실이 운영 중이다.

율목도서관은 2014년 소규모 무한상상실에 공모·선정되어 2년 연속 과학 콘텐츠와 독서진흥이 결합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특히 2015년에는 2014년에 운영된 3개의 프로그램(창작클럽, 상상탐험대, 시간탐험대)에 신규 3개 프로그램을 추가로 개설·운영했다.

일상 속에 담긴 이야기를 오감(五感)을 활용한 감각적 글쓰기를 통해 책으로 엮는 ‘창작클럽 오감글쓰기’, 참여 어린이들이 탐험대원이 되어 간단한 기계장치 및 도구 조립을 배우고 블록을 주제로 상상한 것을 창조하는 스토리텔링형 수업 ‘상상탐험대 BLOCK’, MBTI 성격유형 이론을 바탕으로 자신을 분석하여 새로운 캐릭터를 창조한 후 그림책을 만드는 ‘시간탐험대 캐릭터열전’, 메이커 문화 확산의 무한상상실 모토를 담은 특강 ‘오픈 무한상상실’, 지역 내 초등학교와 연계하여 진행한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 ‘찾아가는 D.H.A.’, 거점 무한상상실 센터와 연계한 상상한 것을 직접 그리고 출력해보는 ‘3D 프린터 프로그램’이 2015년 한 해 동안 풍성하게 운영됐다.

창작클럽 ‘오감글쓰기’의 한 참여자는 자신이 쓴 글들이 모아져 인쇄물로 만들어지는 과정 속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고 있다는 즐거움, 나의‘책’을 가지게 된 것에 큰 기쁨을 느낀다고 밝혔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율목도서관 홈페이지(www.ymlib.or.kr)나 전화(032-770-3809)로 문의 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인천광역시도서관발전진흥원 소개
인천광역시도서관발전진흥원은 효율적인 도서관 운영과 인천광역시 범시민독서운동 추진을 위해 2011년 6월에 설립된 국내 최초 도서관 전문 법인이다. 2014년 8월 1일자로 인천광역시도서관협회에서 인천광역시도서관발전진흥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영양군, 국토부 지역수요맞춤지원사업 공모 선정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장우혁 기자 | 영양군은 국토교통부 주관 ‘2025년 지역개발사업’ 소규모 지역수요맞춤 지원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어, 총 14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으며 전국 7개 시·군 중 유일하게 2개 사업이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고 8일 밝혔다. ‘지역수요맞춤 지원사업’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실생활과 밀접한 생활 편의시설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일반형과 소규모형으로 나뉘며, 소규모형은 사업당 국비 7억 원을 지원한다. 영양군은 이번에 소규모형 부문에서 2개 사업에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두 사업은 지난 3월 경북 산불로 피해를 입은 석보면 화매1리·2리 마을을 대상으로 하며, 피해 지역의 공동체 기능 회복과 안전한 정주 환경 조성을 위한 복구·정비 사업이 추진된다. 첫 번째 화매2리 사업은 산불로 소실된 마을 공동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주민들이 다시 삶의 터전을 일궈갈 수 있도록 다목적 공동이용시설을 조성하고 마을 경관 개선, 마을회관 리모델링, 화재로 훼손된 경로당 정비를 추진한다. 두 번째 화매1리 사업은 산불로 전소된 마을창고를 재건축하고, 이재민 숙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