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2016 헤이그 프로젝트’ 대장정의 시작 - 케이커뮤니케이션

네덜란드 헤이그를 출발해 유라시아대륙을 가로질러 한국까지 자전거로 이동하는 메가 루트로 화제가 되고 있는 <2016 헤이그 프로젝트>의 대장정이 시작됐다.

‘2016 헤이그 프로젝트’ 조직위원회는 28일 선발대를 네덜란드 헤이그로 파견해 세부 일정 및 루트를 조율할 예정이라 밝혔다. 선발대가 직접 현지로 나가 네덜란드 헤이그부터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까지 7개국 14,000km의 루트 조율을 약 4주간 실시할 예정으로, 현지 답사를 통해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한 완벽한 루트 구상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신화망한국채널(주)후이런뉴미디어(이하 신화망 한국채널, 집행총경리 곽윤관)와 (주)케이커뮤니케이션(대표 김윤희)이 함께 진행하는 이번 헤이그 프로젝트는 ‘Beyond the Eurasia’라는 부제 아래, 전 세계에 ‘HOPE U’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HOPE U’는 올림픽 정신과 오륜기를 형상화한 Harmony, Olympic, Peace, Epic, Unification의 의 첫 글자를 딴 단어로써, 전세계에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올림픽 사절단으로 세계 속의 한국의 위상과 평화통일의 염원을 전파하고자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2016 헤이그 프로젝트’ 선발대는 답사를 위해 국내 유일의 국산카본 자전거 생산업체 위아위즈(WIAWIS)와 업무 협약을 맺고 나노카본바이크를 이용해 답사를 할 예정이다.

이에 2016 헤이그 프로젝트 조직위원회 남일호 위원장은 “일제시대 한국의 실상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파견됐던 헤이그 특사를 기리고, 대한민국 통일과 세계평화를 위한 대장정의 시작이 될 것”이라며 “2016 헤이그 프로젝트에 국민들이 관심을 가져달라”고 밝혔다.

헤이그 특사로 파견됐다가 네덜란드 현지에서 생을 마감한 이준열사 서거 1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의 일환이기도 한 ‘2016 헤이그 프로젝트’는 9월 본 행사의 막을 올리며, 대표 선수단 33인은 추후, TV 및 잡지 광고 등을 통해 공개 모집 후 선발할 예정이다.

케이커뮤니케이션 소개
(주)케이커뮤니케이션은 글로벌 프로모션 컴퍼니로 MICE, 프로모션, 공연, 축제, 행사, 체육대회 등을 진행하는 종합기획전문대행사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지방교육재정안정화, 국가가 함께 책임져야 합니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회장 강은희 대구광역시교육감)는 8월 11일 서울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지방교육재정의 현재,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교육위원회 김문수 의원(전남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과 협의회, 지방교육재정 교육감 특별위원회(위원장 임태희 경기도교육감)가 공동 주최했으며 신경호 강원도교육감, 윤건영 충청북도교육감,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을 비롯해 교육부 관계자, 교육재정 전문가, 시·도교육청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서울 서대문을)은 서면 축사를 통해 고교 무상교육 국가 부담 연장 등 교육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를 강조하며, 안정적이고 차별 없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의지를 밝혔다. 토론회에 참석한 김문수 국회의원, 임태희 특별위원장, 강은희 협의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지방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와 교육자치 강화를 위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은 시·도교육청이 실제로 직면하고 있는 재정 여건과도 깊이 맞닿아 있다. 17개 시·도교육청은 지난 3년간 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