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장강경영대학원, '2016 CKGSB 신년 세미나' 개최 - 장강경영대학원



약 100여 명의 국내 기업인 대상 중국 및 글로벌 비즈니스 인사이트 전달
장강경영대학원 샹빙 총장 특별강연 및 조동성 교수 최신연구결과 발표


글로벌 경영대학원 장강경영대학원(CKGSB, 총장 샹 빙(Xiang Bing))은 오는 2월 4일 롯데호텔 사파이어볼룸에서 IMD(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 aSSIST(서울과학종합대학원)와 함께 국내 기업 최고경영자 및 중국 비즈니스 관련 종사자 100여 명을 대상으로 '2016 CKGSB 신년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본 세미나에는 장강경영대학원의 샹빙 총장이 참석, '세계 경제지형을 변화시키는 중국의 대변혁'이라는 주제로 최근 중국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이에 따른 세계적 영향력에 대한 특별강연을 진행한다. 이어 장강경영대학원 전략학 교수 겸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인 조동성 교수가 '2016 아시아ㆍ유럽ㆍ아메리카 지역경쟁력 및 한ㆍ중ㆍ일 국가경쟁력 비교연구'라는 주제로 전 세계 62개 국가경쟁력 및 지역경쟁력을 평가한 최신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장강경영대학원이 유럽 최고의 경영대학원 IMD와 함께 진행하는 'CKGSB-IMD 듀얼 EMBA' 과정과 국내 최초 경영전문대학원인 aSSIST와 함께 개설한 'China EMBA' 과정의 입학 및 커리큘럼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가 함께 제공된다.

'CKGSB-IMD 듀얼 EMBA' 과정은 경영자교육 프로그램에 있어 세계적 명성을 자랑하는 장강경영대학원과 IMD의 제휴를 통해 개설됐다. 동서양 학문 접근 방식을 결합한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유일한 프로그램으로서 중국과 글로벌 비즈니스 성공에 필요한 지식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하는 고위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1년에 한 차례 수강생을 모집하며, 평균 18개월이 소요되는 과정을 이수하면 장강경영대학원과 IMD의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올해의 경우 오는 4월 개강을 앞두고 현재 수강생 모집을 진행 중이다.

'China EMBA' 과정은 중국경제와 기업을 집중 연구함으로써 중국 진출을 준비하는 국내 기업인들에게 중국 시장에 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양국을 이끄는 기업인들 간의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됐다.

지난해 12월 개강 이후 국내 유수 기업인들 60여 명이 한국(서울)과 중국(북경, 상해, 심천, 해남)을 오가며 진행되는 1기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프로그램을 이수한 기업인들은 장강경영대학원과 서울과학종합대학원이 각각 인정하는 두 개의 Executive MBA 학위를 동시에 취득하게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지방교육재정안정화, 국가가 함께 책임져야 합니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준 기자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회장 강은희 대구광역시교육감)는 8월 11일 서울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지방교육재정의 현재, 미래는?'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교육위원회 김문수 의원(전남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과 협의회, 지방교육재정 교육감 특별위원회(위원장 임태희 경기도교육감)가 공동 주최했으며 신경호 강원도교육감, 윤건영 충청북도교육감,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을 비롯해 교육부 관계자, 교육재정 전문가, 시·도교육청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서울 서대문을)은 서면 축사를 통해 고교 무상교육 국가 부담 연장 등 교육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를 강조하며, 안정적이고 차별 없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의지를 밝혔다. 토론회에 참석한 김문수 국회의원, 임태희 특별위원장, 강은희 협의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지방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와 교육자치 강화를 위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은 시·도교육청이 실제로 직면하고 있는 재정 여건과도 깊이 맞닿아 있다. 17개 시·도교육청은 지난 3년간 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