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인천 11.6℃
  • 맑음수원 12.8℃
  • 맑음청주 12.9℃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맑음전주 13.0℃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여수 13.8℃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천안 12.0℃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전북

전주시, 전주형 공공배달앱 '전주맛배달' 가맹점 모집 "수수료 0%”

- 시, 전주형 공공배달앱 명칭 ‘전주맛배달’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가맹점 모집 돌입
- 전주맛배달 홈페이지(jjorder.kr)서 가맹점 등록 신청 가능, 콜센터(1899-1010)도 운영
- 수수료 0%로 소상공인 매출상승, 시민은 쓰면 쓸수록 다양한 혜택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권오연 기자 | 전주시가 내년 2월 전주형 공공배달앱 도입을 앞두고 가맹점 확보에 나선다. 이 배달앱은 중개수수료가 없어 그동안 민간 배달앱에 수수료를 떼온 가맹점에 큰 보탬이 될 전망이다.

 

시는 전주형 공공배달앱 명칭을 ‘전주맛배달’로 정하고 전주맛배달 홈페이지(http://jjorder.kr)를 통해 본격적인 가맹점 모집에 돌입한다고 15일 밝혔다.

 

시는 공공배달앱 브랜드 명칭 선정을 위한 공개모집과 전문가 자문 등의 과정을 거쳐 ‘전주맛배달’을 전주형 공공배달앱 명칭으로 최종 결정했다. ‘전주맛배달’은 전국 최고의 맛의 고장답게 ‘전주의 맛’을 배달 서비스로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시는 전주지역 소재(완주군 혁신도시 일부포함) 배달 가능한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4000여 개의 가맹점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15일부터 전주맛배달 홈페이지를 열어 가입신청서(PG포함)와 사업자등록증, 통장사본 등을 첨부하는 방식으로 가맹점 등록 신청을 받기로 했다. 오는 17일부터는 콜센터(1899-1010) 유선 상담과 찾아가는 가맹점 신청 접수도 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전주시 홈페이지(www.jeonju.go.kr)는 물론이고 전주시 공식 SNS, 버스앱 광고, 지역맘카페, 시내버스 랩핑광고, 지역 인플루언서 활용 등 다양한 홍보채널을 가동키로 했다.

 

‘전주맛배달’ 가맹점이 되면 민간 배달앱과 달리 ‘전주맛배달’ 앱 상에서 전주사랑상품권을 연동해 온라인 결제가 가능하며 페이백 10%도 적용받을 수 있게 된다. 가맹점을 등록한 소상공인에게는 소비자 마케팅을 위한 기념상품이 제공된다.

 

전주형 공공배달앱 ‘전주맛배달’은 시가 민간 배달앱의 높은 중개·광고 수수료를 부담스러워하는 소상공인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동시에 온라인 판로 확대를 통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도입했다. 민간 배달앱의 중개수수료는 6~12%이나 ‘전주맛배달’은 중개수수료가 0%이며 광고비나 가입비 등 별도의 추가금도 없다.

 

앞서 시는 지난 10월 배달앱 구축 및 운영에 참여할 민간 사업자를 공개모집해 중개수수료, 가입비, 광고비 제로를 제안한 ㈜코리아센터를 사업자로 선정했다. (재)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홍보 및 가맹점 확보 등 배달앱 서비스 관리를 맡기로 결정하고 전담인력 구성까지 마쳤다.

 

김봉정 전주시 신성장경제국장은 “전주맛배달은 소상공인에게는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고, 소비자에게는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전주시민 모두 상생할 수 있는 배달앱을 도입한 만큼 조속히 정착될 수 있도록 가맹점 모집에 소상공인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대우건설 “13년째 멈춰선 동작구 재개발, ‘더 좋은 집’ 약속 뒤 남겨진 책임 공백”

서울 동작구 본동 441번지 일대에서 시작된 지역주택조합 방식의 재개발 사업이 13년째 지지부진한 상태다. 주민들은 “노후 주택을 철거하고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에 들어가게 해주겠다”는 제안을 믿고 수억 원의 분담금을 냈지만, 지금은 집도 신용도 잃은 채 법정 앞에 섰다. 이 사업은 조합 조건의 미비, 대기업의 채무보증 구조, 행정기관의 인허가 책임 유보 등 복합적 문제를 드러내며 한국 재개발 시스템의 민낯을 보여주고 있다. 조합의 구조적 결함 2007년 설립된 ‘노량진본동지역주택조합’은 무주택자·전용면적 60㎡ 이하 주택 보유자들을 대상으로 조합원을 모집했다. 조합원들은 아파트 한 채를 기대하며 1인당 2억~3억 원대의 분담금을 냈다. 하지만 조합은 토지확보율, 조합원 동의율 등 사업 추진에 필수적인 조건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던 것으로 보고된다. 또한, 조합장은 수백억 원대 횡령 혐의로 실형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조합의 내부 부실이 사업의 본궤도 진입을 막았고, 결국 2012년 약 2 700억 원 규모의 대출금 만기 상환을 못해 파산 상태에 빠졌다. 대기업의 채무보증과 책임 회피 논란여전.시공사로 선정된 대우건설은 조합의 PF 대출에 연대보증 형태로 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