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인천 31.5℃
  • 맑음수원 32.9℃
  • 맑음청주 33.1℃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전주 34.0℃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여수 30.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천안 31.6℃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전북

‘전주의 특별한 밤’ 전주문화재야행 성료

- 22·23일 경기전과 전라감영 일원서 ‘2021 전주문화재야행’ 온·오프라인 개최
- 한옥마을 야경과 역사 활용한 22개 프로그램 사전예약제 운영, 예매 시작 5분 만에 매진
- 경기전 좀비 실록, 전라감영 야외 방 탈출 게임, 치유의 경기전 등 좋은 반응 보여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권오연 기자 | 전주한옥마을에서 가을밤의 정취를 느끼며 역사와 놀이, 체험 등을 즐기는 전주문화재야행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전주시와 전주문화재야행추진단은 지난 22일과 23일 경기전과 전라감영 일원에서 ‘2021 전주문화재야행(夜行)’을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했다.

 

‘문화재술사의 팔(八) 야심작’을 주제로 열린 이번 문화재야행은 경기전과 전라감영의 야경과 역사를 활용한 총 22개 프로그램이 사전예약제로 진행됐다. 지난 6월에 열렸던 1차 야행에 이어 이번 야행에서도 예매 시작 5분 만에 매진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보였다.

 

현장에서는 △왕과의 산책 △경기전 좀비 실록 △치유의 경기전 △사진으로 만나는 문화재의 밤 △지역 예술가 무대 △태조와 야행이를 만나다 △전라감영이 돌아왔다 △전라감영 야외 방 탈출 게임 등이 펼쳐졌다.

 

온라인에서는 △슬기로운 집콕생활 △전주문화재 VR 건설 프로젝트 △마인크래프트 전주 건설 영상 제작 △한밤의 ‘계’ 이득 △거리의 화공 △카카오톡 방 탈출 대국민 O·X 퀴즈 △전주야행 온라인 커머스 등이 운영됐다.

 

이번 전주문화재야행은 젊은 문화기획자의 참여를 통해 도전적 시도로 더욱더 젊은 감각으로 재구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단순히 보고 즐기는 틀을 깨고 관광객이 직접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방문객들과 함께 문화재야행을 완성했다는 평이다.

 

특히 경기전 좀비 실록이나 전라감영 야외 방 탈출 게임 등 전주의 역사와 문화재를 더욱 자세히 알 수 있게 한 프로그램이나 시민들을 치유할 수 있는 ‘치유의 경기전’ 등이 참여자들의 신선한 반응을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전주문화재야행추진단 관계자는 “비록 예전처럼 수많은 인파를 수용할 수는 없었지만 사전예약제 도입을 통해 전주가 지닌 매력을 보다 집중도 있게 선보일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면서 “끊임없는 창의적 발상으로 문화재야행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전주시 문화관광체육국 관계자는 “전주문화재야행은 단순한 일회성 행사가 아닌 오랫동안 지속가능한 프로그램들로 갖춰지고 있다”면서 “내년에는 올해보다 더욱 다채롭고 대중에게 사랑받는 콘텐츠로 찾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모델의 환각 현상: 기술적 한계와 윤리적 문제점 심화 분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AI 모델의 발전과 함께 '환각 현상'이라는 새로운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환각 현상이란 AI가 사실이 아닌 정보를 마치 사실인 것처럼 생성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AI 기술의 신뢰성과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AI 모델은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패턴을 인식하고 예측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학습 데이터의 오류나 편향, 모델 자체의 한계 등으로 인해 사실과 다른 결과물을 생성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환각 현상은 단순한 오류를 넘어, 잘못된 정보 확산,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법적 문제까지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모델은 환각 현상에 더욱 취약합니다. 이러한 모델은 새로운 텍스트, 이미지, 코드 등을 생성하는 데 탁월하지만, 그 과정에서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지 못하고 그럴듯한 거짓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AI 기술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환각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더욱 정확하고 균형 잡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