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홍종오 기자 | DGIST 바이오메디컬연구부 이윤희·지능형로봇연구부 구교권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혈액 속 암세포에서 나온 엑소좀이라는 아주 작은 입자를 원자힘현미경(AFM)으로 눌러보고, 그 입자의 '딱딱함'만으로도 폐암 유전자 돌연변이를 구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연구는 단일 엑소좀을 빠르고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어, 새로운 액체생검 기반 폐암 진단 기술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소세포폐암(NSCLC)은 전체 폐암 환자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흔한 암이다. 그러나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거의 없어 발견이 어렵고,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아 치료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비소세포폐암은 여전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으며, 조기에 발견해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기술 개발이 의료계의 큰 과제로 남아 있다. 특히 기존 조직생검은 환자에게 부담이 크고 반복적인 검사에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혈액 속 정보를 활용한 비침습적 액체생검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DGIST 이윤희·구교권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비소세포폐암 중에서도 암세포가 가진 유전자 돌연변이에 따라 다른 특징을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DGIST는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최홍수 교수팀이 회전자기장을 이용한 자성나노입자의 체인 분해 자기구동 메커니즘을 연구하여 암세포 내 자성나노입자의 침투와 자기 온열치료 효과를 강화하는 방법을 밝혀냈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현재 암 치료 분야에서도 주목 받고 있는 자기장을 이용한 자성 치료제 전달체에 대한 연구로, 향후 암 치료를 위한 표적 치료제 전달 분야에서 치료제 전달률과 치료 효과를 더 향상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되어 암 치료 분야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암 치료 분야에서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치료하는 표적치료제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자기장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표적할 수 있는 자성 치료제 전달체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자성나노입자가 일반적인 형태의 균일 자기장에 노출되면, 자기장 방향으로 긴 체인을 형성하게 되어 암세포나 종양 내부로의 침투가 어려워 치료 효과 저해를 가져온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DGIST 최홍수 교수팀은 특이한 자기장인 회전자기장을 활용해 자성나노입자의 행동과 유체 점성 저항력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자성나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