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ESG데일리] 5월 4주차 글로벌 ESG 동향 브리핑 환경(Environment) 록펠러재단, 156조원 규모 '석탄 감축 이니셔티브' 출범 록펠러재단이 석탄발전 조기 폐쇄를 위한 글로벌 프로그램 ‘CCCI(Coal to Clean Credit Initiative)’를 공식 발표했다. 2030년까지 총 60개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석탄 감축을 유도하고, 감축분을 ‘전환 배출권’으로 시장에서 거래하는 구조를 도입할 계획이다. 총 투자 유치 목표는 민관 합산 1,100억 달러(약 156조원)에 달한다. 독일, 전력망 요금 개편…재생에너지 확대 반영 독일 정부는 전력망 요금 체계를 재설계해 피크 요금 차등제 도입과 재생에너지 사업자 대상 비용 분담안을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소비 효율 개선 및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 변화로 평가된다. 美 대법원, 엑손·선코어 기후 소송 허용…기업 책임 본격화 콜로라도주 대법원이 엑손모빌과 선코어에너지에 대한 기후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정식 재판으로 허용했다. 이번 결정은 지방정부 차원의 기후오도 행위 책임 추궁이 법적 효력을 인정받은 첫 사례로, 향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국내 기업들이 국제 환경규범을 맞추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재생에너지를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제도적 변화가 가시화되고 있다.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은 기획재정부가 3월 25일 발표한 '2025년 조세지출 기본계획'에서 ‘무탄소 에너지(재생에너지) 구매비용 세액공제’ 항목이 올해 유일한 예비타당성 평가(예타)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 제도가 본격 도입될 경우, 오는 2026년 1월부터 국내 RE100 이행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구매 비용에 대해 추가적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김 의원은 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부회장, 한국에너지공단 재생에너지 사용 심의위원회 위원 등 다양한 에너지 분야 경력을 가진 전문가 출신으로, 기업의 재생에너지 비용에 대한 세제지원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특히 지난해 6월 열린 한국세무학회·한국조세정책학회 공동 심포지엄에서도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는 민간의 자발성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정부 차원의 실질적 세제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김 의원은 “미국 등 선진국은 재생에너지 요금이 낮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