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이규욱 장로, ‘케냐 바링고 카운티에 '슈바이져 처럼, 선교의 꽃을 피우다’

케냐 바링고 카운티는 46개 카운티 중에 하나로 수도인 나이로비에서 북서쪽으로 3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인구 70만, 면적 11만 sqm이며 6개의 sub county (Tiaty, Baringo North, Baringo Central, Baringo South, Mogotio, Eldama Ravine)로 구성되어 있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성용 기자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이다. 하나님의 선교는 하나님이 하나님의 사람을 통해 하신다.  바울을 보라. 준비된 바나바와 함께 시작하지 않는가?

 ‘케냐 바링고 카운티 선교도 보라. 이미 하나님께서 김옥실 선교사를 이곳에 깊게 심으셨고, 이규욱 장로와 함께 일하지 않는가?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이어야 한다.  

김옥실 선교사는 누구인가? 그는 1997년 이곳에 와서 유,초등,중,고등학교를설립했다. 인재를 양성하는 에벤에셀 학교를 설립했고, 이 학교를 운영해 왔다. 2001년부터 에벤에셀은 강남대학교와 자매 결연을 맺고, 매년 2명의 장학생을 강남대학교에 파송, 대학과정을 수료하는 과정에서 엘리아 청년이 2010년애 대학을 수료하고, LG전자 해외사업부에서 근무 중 2012년 8월 자원봉사 과정에서 심장마비로 25세에 소천하는 불상사가 발생하였다.

사진1 ▲. (에벤에셀에서 김옥실 선교사와 함께)

 

다행이 이때, 한국의 WBF NGO가 엘리아스의 죽음을 기리기 위하여 KOICA Project로 2015년부터 엘리아스 ICT 센터를 운영함으로 바링고 카운티에 선교의 꽃이 피기 시작한 것이다. 

 엘리아스 ICT 선교센터에서 매년 3차례에 걸처 300여명의 교사와 청년들에게 1주일간 무료로 숙식을 제공하며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2011년까지 2,300명의 교사, 3,500명의 주민과 학생들이 컴뮤터 기본 교육을 수료하였고 1,300대의 컴퓨터를 각 학교에 보급, 반과 후 컴퓨터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사진 2 ▲ 엘리아스 ICT 센타

 

특히, 대전용전교회(권석은 목사 시무) 이규욱 장로가 WFK (World Friends Korea, KOICA + NIPA)의 Project로 2016년부터 3년간 케냐 바링고 현지에서 ICT 자문관으로 근무하면서 바링고 카운티 선교의 꽃이 열매를 맺기 시작한 것이다.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많은 열매를 맺듯..." 

 

 대전 용전교회(권석은 목사) 이규욱 장로는 현지에 가장 시급한 과제가 물 부족임을 깨닫고 용전교회와 미국 뉴송교회의 후원으로 3년간 5톤용 물탱크 102개를 각 학교, 교회, 마을회관에 공급하였고, Water Dam 1개 건설하였으며, 교회 악기 1 set를 기증, 교육용 차트 1,000개 제공하는 등 3년간 총 8천만의 선교를 담당하였으며, 이외에도 엘리아스 ICT 센터에서 주 1회 컴퓨터 및 한국의 발전상을 강의하고 공무원 연수원에서 주 1회 한국의 발전 상을 강의하고 현지에 인터넷 설치 및 운영에 기여 하였다.

 

사진3 ▲. 공무원연수원에서 강의중인 이규욱 장로

 

2019년 초에 귀국한 이규욱 장로는 마음에 걸리는 한가지가 있었다.

 

사진4 ▲. 현지 거버너와 함께 물탱크 공급 세리머니

 

바로 현지에 Kapsoo 교회가 기존 성전 옆에 총 1억 7천만원의 공사비로 새로운 성전을 건축 중이었는데 이제까지 1억 3천만원의 공사 진척을 이루었고 앞으로 창문, 바닥, 의자, 내부 인테리어 공사로 4천만원이 더 소요되는데 코로나 사태로 성전건축이 중단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마음에 부담을 안고 있었다.

 

사진5 ▲. 현지 Water Dam 공사 후 Ceremony

 

1년 6개월간의 기도 끝에 1년전 용전교회가 3천만원의 성전건축을 지원함으로 현재 성전건축이 완료되었으며 금년 11월에 용전교회가 현지에 방문 시 헌당식을 갖기로 하였다.

 

사진6 ▲. (금년 11월 초 헌당식을 기다리고 있는 Kapsoo 교회)

 

바링고 카운티에 꽃을 피고 열매를 맺은 용전교회 선교는 금년부 터 5년간 연 2천만원의 선교로 다음과 같은 추수를 위하여 매진 하고 있 다.

 

첫째 Rotary Club 후원으로 현지에 1억 project의 저수지 개발을 시작 하였다.

둘째 매년 말 5톤용 물탱크 10개를 현지에 공급하고 있다.

셋째 유기농법 기술을 전수하여 유기농 커피를 생산, 판매로 1,000 가 정의 월소득을 현재 350에서 500불로 수익을 증대, 이슬람으로 교화되 는 크리스찬을 돕는다.

넷째 노후화로 폐기, 방치되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 water pump 8개, 지하수 시설 2개를 보수한다.

다섯째 Kapsoo 교회에서 제자사역 훈련을 실시하여 참 크리스찬으로 변화 시킨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심화: 생성형 AI의 저작권 및 책임 논쟁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및 책임 소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저작권을 침해했을 경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AI가 기존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AI 개발사는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저작권자들은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질이 향상되면서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저작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법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