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0.8℃
  • 맑음강릉 4.2℃
  • 맑음서울 1.1℃
  • 맑음인천 1.9℃
  • 맑음수원 2.1℃
  • 맑음청주 2.7℃
  • 구름조금대전 3.5℃
  • 맑음대구 3.5℃
  • 구름많음전주 3.5℃
  • 맑음울산 3.9℃
  • 흐림광주 4.9℃
  • 맑음부산 6.4℃
  • 맑음여수 5.9℃
  • 흐림제주 10.8℃
  • 구름조금천안 2.4℃
  • 맑음경주시 3.9℃
  • 맑음거제 6.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성희승 작가, 신작 '빛고을'로 광주의 빛을 세계로 확장…2024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참여

빛고을'로 형상화한 광주의 민주주의와 평화의 빛
동학과 오월정신의 계승, 현대적 예술로 재탄생
우주와 자연을 향한 탐구, 동학 사상의 현대적 재해석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류승우 기자 | 2024 광주비엔날레 기념 특별전 ‘시천여민’에서 성희승 작가가 신작 ‘빛고을’을 선보이며 광주의 민주주의와 평화를 상징하는 빛을 전 세계로 확장시키고 있다. 삼각형의 기하학적 구성을 통해 퀘이사를 모티브로 광주정신을 예술로 형상화했다.

 

성희승 작가, '빛고을'로 광주 정신을 세계로

성희승 작가는 2024 광주비엔날레 기념 특별전 ‘시천여민(侍天與民)’에 참여해 신작 '빛고을'을 선보이고 있다. 이 작품은 세로 290cm, 가로 280cm 크기로, 삼각형의 기하학적 기법을 통해 광주의 민주주의와 평화의 상징적 빛을 표현하고 있다. 퀘이사를 모티브로 한 ‘빛고을’은 점과 선, 삼각형 층위로 이루어진 독특한 형상으로 광주 시민들의 투쟁과 연대를 담아냈다.

 

동학과 오월정신을 잇는 예술적 접근

이번 전시 '시천여민'은 동학농민혁명 130주년과 5·18 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을 기념하는 취지로, 동학의 시천주 사상과 오월정신의 연속성을 강조한다. 전시는 동학과 오월을 개별 사건이 아닌 공통된 정신적 가치로 접근해, 현대 사회의 갈등과 혼란 속에서도 지구적 보편가치를 제시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천망회회 소이불실’과 ‘푸른별’, 자연과 생명에 대한 메시지

성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천망회회 소이불실'과 '푸른별' 등 추가 작품도 공개했다. ‘천망회회 소이불실’은 자연의 법칙을 상징하며 악인에게 벌을 주는 정의의 개념을 담고 있다. ‘푸른별’은 별의 생명력과 우주적 확장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동학의 사상과 예술적 가치를 미래의 우주 예술로 확장할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20여 년간의 예술 여정, 성희승의 국제적 위상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한 성희승 작가는 2003년 베네치아 비엔날레 게릴라 퍼포먼스부터 시작해 유럽, 미국, 아시아 등 세계 곳곳에서 작품을 선보였다. 골드스미스 런던대학교에서 문화정책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뉴욕대학교 NYU 예술학부 방문 학자로 연구교수를 역임하는 등 학문적 활동도 병행했다.

 

 

별을 그리는 작가, 성희승의 철학과 창작 여정

성 작가는 최근 에세이 ‘별 작가, 희스토리’를 통해 자신의 예술 철학과 창작 과정을 소개했다. 그는 예술을 통해 고통과 아픔을 정화하고, 민주주의와 평화를 위한 염원을 담아 작품에 생명을 불어넣고 있다. 그의 작품은 빛과 생명의 상징으로써 미래를 향한 희망을 전달하며, 광주의 빛을 세계로 확장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광주의 빛과 민주주의 정신을 예술로 승화한 성희승 작가의 작품은 2024년 광주비엔날레 특별전에서 더욱 빛을 발하고 있으며, 이번 전시는 동학의 사상과 오월정신을 계승하는 예술적 실천으로 주목받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기획]의정부시, '모두의운동장' 공공시설 개방이 만든 새로운 체육복지 모델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의정부시는 11월 17일 시청사 내 ‘모두의운동장’에서 개방 3주년을 기념한 현장 간담회를 열고, 그간의 운영 성과와 참여기관의 의견을 공유했다. 이번 간담회는 공무원 전용 공간을 시민에게 개방해 조성한 모두의운동장이 지난 3년 동안 지역사회에 어떤 변화를 만들었는지 직접 확인하기 위한 자리다. 간담회에는 의정부시사회복지협의회, (사)경기장애인부모연대 의정부시지회, 의정부시장애인주단기보호시설 곰두리네집, 이레정신재활시설 등 지역 복지기관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으며, 시장과 함께 프로그램을 참관하며 이용자들의 반응과 시설 성과를 점검했다. 운동할 곳 없던 아이와 장애인을 위한 ‘열린 체육장’ 모두의운동장은 당초 공무원만 사용하던 시청 내 다목적시설이었으나, 2022년 말부터 발달장애인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등 운동공간 부족 문제를 겪는 시민들에게 개방되며 정책적 의미를 갖게 됐다. 연면적 1천825㎡ 규모의 실내 운동시설에서 아이들과 장애인이 자유롭게 뛰고,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즐기며, 기관 간 교류가 이뤄지는 새로운 체육복지 모델이 자리 잡았다. &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