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경찰청 넘쳐나는 고소 고발건에 몸살

경찰이 넘쳐나는 각종 고소·고발·진정 사건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27일 충북경찰청에 따르면 2007∼2010년까지 충북경찰에 접수된 고소와 고발, 진정 사건은 6만978건으로 한해 평균 1만5245건에 달했다.

고소는 3만5867건으로 한해 평균 8967건, 고발은 1만4807건으로 한해 평균 3702건, 진정은 1만304건으로 한해 평균 2576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접수된 사건도 1만5168건으로 하루 평균 41.5건에 달했다. 고소는 8532건으로 하루 평균 23.4건, 고발은 3440건으로 하루 평균 9.4건, 진정은 3196건으로 하루 평균 8.8건에 이르렀다.

고소와 고발은 2009년 9415건과 3614건에 비해 각각 883건(9.4%)과 174건(4.8%)이 줄었지만, 진정은 795건(33.1%) 늘었다.

올해 현재까지도 고소 5126건, 고발 1274건, 진정 2322건 등 각종 고소, 고발, 진정 사건이 넘쳐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지난 24일 청주상당경찰서에 '동네사람과 주변사람 135명이 나를 죽이려 했으니 살인미수로 조사해 달라'며 수사를 의뢰하는 다소 황당한 고소장이 우편으로 접수돼 경찰이 사실확인 등 조사에 나섰다.

하지만 조사에 나선 경찰은 고소장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고소장을 접수한 남성(46)과도 좀처럼 연락이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강력 사건과 연관된 고소장이라 황당하지만 허투루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고소인을 상대로 사실확인 등을 한 뒤 수사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ESG 공시 의무 강화,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 시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공시 및 실사 의무가 강화되면서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전환점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국제적인 규제들이 고도화되면서, 국내 기업들은 수출 및 글로벌 공급망 유지를 위해 더욱 철저한 ESG 경영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최근 EU 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논의되는 CSDDD는 기업이 인권 및 환경 측면에서 자사의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식별하고 예방, 완화하도록 의무화한다. 이는 유럽 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유럽 시장에 진출하거나 유럽 기업과 거래하는 비EU 기업들에게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급망 내의 중소기업까지 ESG 리스크 관리를 확대해야 함을 의미한다. 과거의 자율적인 공시를 넘어, 이제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 강제적인 실사 의무가 도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규제 환경의 변화는 한국 기업들에게 이중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먼저, 복잡하고 다양한 해외 규제에 대한 이해와 준수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자체적인 ESG 성과 관리뿐만 아니라 협력사의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