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여수 28.0℃
  • 구름많음제주 29.8℃
  • 구름많음천안 26.2℃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예술통신

비엔나에서 피아니스트 강소연, 모차르트와 관객 속으로 춤추며 넘나드는 건반의 향연.

[2016.08.14] 피아니스트 강소연, 모차르트와 관객 속의 춤추며 넘나드는 건반의 생기를 불어넣다.
 
클래식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비엔나, 그리고 그 도시를 온통 물들이는 모차르트의 음악과 초상화들은 비엔나 시민들이 곧 모차르트고, 모차르트 그가 곧 비엔나 시민이라는 일체감을 들게 만든다. 게다가 이 곳에 잠시 들른 타국의 사람들마저도 동질감 속에 클래식을 사랑하지 않던 이들마저도 클래식에 흠뻑 취할 수 밖에 마력의 힘들 가지고 있었다. 그런 이 곳에 2014년 무직페어라인 황금홀에서 오스트리아 인들의 클래식을 향한 사랑에 불을 지폈던 피아니스트 강소연이 모차르트의 가장 사랑스럽고도 슬픈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A장조 23번을 Euro Sinfonietta Wien 오케스트라와 함께 관객들 앞에 섰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A장조 23번 곡은 수 많은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중에서도 ‘가장 모차르트다운 음악’이라고 불리어지는 곡인 만큼 모차르트 특유의 우아하면서도 경쾌한 멜로디로 오스트리아 인들에게는 그 무엇보다도 많은 사랑을 받는 곡이라 할 수 있다. 그에 대한 기대감 가득한 현지 관객들의 눈빛은 무대에 등장하는 피아니스트 강소연에 대해 호기심으로 가득했다. 어쩌면 부담감이 너무나 컸을 상황에서 시작된 1악장, 춤추듯 흘러가는 멜로디는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그리고 2악장이 시작되는 순간, 피아니스트 강소연은 가장 아름다운 슬픔이라는 단어를 음악적으로, 그리고 피아노 건반으로 표현할 수 있는 극치를 선보이기 시작했다. 모차르트가 왜 이 곡을 만들었을지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와 연습의 시간들이 묻어났다. 그리곤 다시 우아하면서도 경쾌해지는 3악장은 마지막을 화려하게 장식하며, 가슴 깊이 베어 들었다.
어떤 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아리랑” 곡을 선보인다면, 관객들은 호기심 반과 의심 반으로 지켜볼 것이다. 그만큼 외국인으로서 소화하기 어려운 “한”이라는 한국적인 감성이 쉽사리 나올 수 없다는 전제가 나름 깔려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렇듯 피아니스트 강소연이 비엔나 한 중심지에서 선보인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은 어쩌면 그녀에게 있어서 가장 어려운 무대였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녀가 표현했고, 그려낸 모차르트의 곡은 음악이라는 것이 어느 나라에서 만들어 졌든지 간에, 이를 뛰어넘을 수 있는 만국 공통의 언어와 감정이라는 것이 존재함을 다시 한 번 입증하는 자리와도 같았다. 약 30분 동안 이어졌던 그녀의 연주 시간 속에 느꼈던 기분 좋았던 긴장감과 설렘은 가장 슬펐던 아름다움이었고, 가장 아름다웠던 슬픔이었다. 묵혀두었던 울음과 웃음이라는 가장 다른 감정이 한데 섞이며 나올 수 있는 그 융합의 현장이었던 이번 비엔나에서의 연주는 앞으로 그녀가 또 다른 곳에서 선보일 융합의 무대를 그려보게 만든다.
@예술통신_글쓴이. 비엔나에서 이한나
[2016.08.14] Pianist Soyeon Kang dancing through Mozart's piano concerto
Vienna, home of culture, music and Mozart. The city is filled with his music and portraits as if Mozart himself represents the people of Austria. With his presence in every corner of the street, even the ones who have no opinion on the genre instantly falls in love with the romantic pieces of classical music. And in this city, Pianist Soyeon Kang returned to shake the hearts of men and women, just like she did in 2014 in the Golden Hall of Musikverein with Mozart Piano Concert No. 23 in A Major, KV. 488.
Mozart had a way with the piano concerto like no other composer before or after him. Building upon the achievements of two of J. S. Bach's sons, Carl Philipp Emanuel and Johann Christian, he gave the word "concerto" an entirely new meaning. He took over the idea of alternating orchestral and solo passages, as well as a few other basic structural elements; however, he considerably expanded on the earlier form, making it both more complex and more flexible. In his hands, the piano concerto became capable of expressing the most diverse characters, from grandiose and festive to lyrical and intimate, with innumerable shadings in between. Mozart used A major on numerous occasions in symphonic works, as well as in chamber and vocal music. He wrote two piano concertos in that key: No. 11 (K. 414) in 1782 and No. 23 (K. 488) in 1786. Both share the bright, sunny disposition that characterises Mozart's A major. But the later work is significantly broader in its scope and exemplifies Mozart's concerto style at its most mature and refined.
The Allegro first movement, with double exposition, goes by the rules of structure for the most part, although there is an incursion of drama in the development section plus a through-written cadenza, rare in his mature concertos. Rather than an Andante, the slow movement is the only Adagio in all of Mozart's concertos, with melancholy taking centre stage that heretofore had hovered in the wings. Startlingly and somberly the key is F sharp minor, not really leavened by a sweet subject in A major for flute and clarinet. After two introverted movements, the second one confined to a sickroom, the rondo-finale rallies ebulliently - an Allegro assai among the most buoyant in Mozart's concerto canon, with key-changes and even high comedy that find the patient recovered and happy, as are all of us are who have been worried till now about his health.

Mozart Piano Concerto No. 23 is not an easy piece to perform with a fresh intake, as the composition has been extremely popular since its debut. However, with the melancholy and high comedy within the music, one could find an underlying strange emotion found by the pianist herself. It was a mixture of sadness and revenge, despair and anger. Many of the audience took this foreign, yet familiar feeling by surprise, further proving that Kang was capable of mixing different cultures into one glorious expression. It was hard not to laugh and be touched by her bitter-sweet song from her piano, and it is the one concert experience people are not likely to forget.
@예술통신_Written by Rebecca in Vienna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ESG 환경과 사회] 디그로스 운동,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부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디그로스(Degrowth, 감성장) 운동이 기후 위기의 대안적 해결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디그로스는 전통적인 경제성장 중심의 발전 모델에서 벗어나 자원 소비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와 사회 정의를 실현하자는 사회적·정치적 운동이다. BBC 등 주요 언론사들은 최근 일주일간 디그로스 운동을 집중 조명하며, "지속적인 경제 성장은 기후 위기를 심화시키며 불평등을 가중시킨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전하고 있다. BBC는 "감성장 운동이 자원 소비 감소를 통해 자연과 사회의 균형을 되찾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디그로스 운동은 특히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큰 관심을 얻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순 철학적 논의에서 실제 정책적 변화를 요구하는 정치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프랑스, 독일 등지에서는 에너지 소비 감축, 친환경적 교통수단 전환, 지속 가능한 농업 및 식량 시스템 구축 등 디그로스를 정책에 반영하자는 요구가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한편, 디그로스 운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디그로스가 현실성이 떨어지고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