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제3회 세계 팝 음악시상식, 코로나 19 위로음악회" 온라인 개최

‘오미크론’의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지침에 따라 온라인으로 변경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정길종 기자 | ‘제3회 세계 팝 음악시상식(The 3rd World Pop Music Awards) 겸 코로나 위로음악회’ 가 세계 팝 음악시상식 조직위원회의 주최로 오는 12월18일 저녁 7시 서울시 서초구 AT 센터 5층 그랜드 컨퍼런스에서 열기로 예정하였으나, 코로나19 및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의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지침에 따라 온라인으로 변경·개최되었다.

 

▲왼쪽부터 작곡가 장경수, 가수 임희숙, 테너 김남두, 아래사진 왼쪽부터 가수 금잔디, 뮤지컬 배우 박혜나, 영국 팝가수 질마리쿠퍼

 

“TWPMA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시상식에서 장경수(작사가/공로상), 임희숙(가수/공로상), 김남두(테너/크로스오버상), 박혜나(뮤지컬배우/크로스오버상), 금잔디(가수/클래식 K-POP상), 질마리쿠퍼(Jill Marie Cooper/영국팝가수/New Comer Award POP & CCM) 등 국내외 다양한 음악 분야의 수상자들에게 공로상 등 각종 본상을 수여하고, 또한, 코로나 19 위로음악회를 할 예정이었다.

 

조직위원장인 “리리(Lee Lee)” 회장은 예술의 순수함을 만들어준 본인의 아름다운 고향인 속초에서 ‘1회(2018)’ 대회 개최와 본인의 젊음을 바친 예술의 깊이와 성과를 만들어준 영국 런던에서 ‘2회(2019)’ 대회를 하였으며, 아시아 대표 도시의 하나인 서울에서 ‘3회 대회’를 공표하였으나, 코로나 19의 변종인 오미크론의 급격한 확산을 우려한 지자체 등 정부의 시책과 대규모 인원의 이동, 거리 두기에 가장 취약한 결혼예식, 예배, 수상식 행사 등의 자제권고에 따른 것이다.

 

“리리(Lee Lee)”회장은 2022년 펜데믹 사태가 좋아지는 대로 다시 일정을 발표하여 온라인으로 수상하신 모든 수상자들을 초대하여 축하 및 코로나19 위로 행사를 열 것이며 앞으로도,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이 내한하여 수상하고 전 세계에 도움이 되는 의미 있고 명예스런 축하공연을 하는 등 세계에서 가장 명예스럽고 존경스런 시상식으로 발돋움하게 될 것이라고 입장을 표명했다.

 

한편 “리리(Lee Lee)”회장은 ‘제4회’ 시상식이 베트남 '하노이' 및 ‘국내 외’ 유치 요청에 의해 세계적인 시상식으로 개최될 예정이라고 말했으며 앞으로의 “리리” 회장과 “세계 팝 음악시상식 조직위원회”의 행보가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美 연준, 추가 금리 인상 시사…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가중, 한국 경제 영향 촉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최근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통해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다시 한번 증폭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 유지 배경과 더불어, 이로 인해 한국 경제가 직면할 수 있는 파장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번 의사록 공개는 고물가 압력이 여전히 높고 노동시장의 견조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연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 달성을 위해 당분간 긴축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시장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을 꺾고 고금리 시대가 장기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미국 금리 인상 기조의 강화는 곧바로 한국 금융시장에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미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원/달러 환율의 추가 급등을 부추기고, 외국인 투자 자금의 유출 가능성을 높여 금융 불안정을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은행이 물가와 경기 상황을 고려해 금리 인상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