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5.2℃
  • 맑음강릉 14.4℃
  • 구름조금서울 17.3℃
  • 구름조금인천 15.6℃
  • 구름많음수원 16.4℃
  • 맑음청주 17.1℃
  • 구름조금대전 15.3℃
  • 구름조금대구 18.3℃
  • 맑음전주 17.2℃
  • 맑음울산 16.4℃
  • 맑음광주 18.7℃
  • 구름조금부산 18.3℃
  • 맑음여수 18.1℃
  • 맑음제주 19.7℃
  • 맑음천안 15.9℃
  • 맑음경주시 16.9℃
  • 구름조금거제 16.4℃
기상청 제공

국제

국제포커스] 정부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등에 욱일기와 관련해 공식적으로 문제 제기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정부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등에 욱일기와 관련해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관련단체와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대한체육회(KOC)가 지난 8월 22일 도쿄올림픽 선수단장회의에서 2020 도쿄올림픽·패럴림픽조직위원회(이하 도쿄조직위)에 질의한 올림픽 공식 시설 내 욱일기 사용과 반입 금지 요청에 대해 도쿄조직위가 욱일기 허용 입장을 밝힌 데에 대한 대응조치 차원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 앞으로 보내는 장관 명의의 서한에서 IOC에 욱일기에 대한 도쿄조직위의 입장에 대한 깊은 실망과 우려를 표명하며 욱일기 사용의 부당성을 설명하고 사용 금지 조치를 요청했다고 11일 밝혔다.

  문체부는 서한문을 통해 욱일기가 19세기 말부터 태평양전쟁을 비롯한 일본 제국주의의 아시아 침략 전쟁에 사용된 일본 군대의 깃발로서, 현재도 일본 내 극우단체들의 외국인에 대한 차별과 혐오 시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유럽인들에게 나치의 하켄크로이츠가 제2차 세계대전의 악몽을 떠올리게 하는 것처럼, 욱일기는 당시 일본의 침략을 당했던 한국과 중국, 동남아 등 아시아 국가들에게는 역사적 상처와 고통을 상기시키는 명백한 정치적 상징물임을 지적하고, 국제축구연맹(FIFA)에서도 이미 욱일기 사용을 금지하고 있음을 제시했다.

  참고로 이러한 사유로 아시아축구연맹(AFC)은 지난 2017년 아시아챔피언스리그에서 발생한 일본 관중의 욱일기 응원에 대해 일본 축구팀에 벌금 1만 5000달러의 벌금을 징계한 바 있다.

  문체부는 도쿄올림픽에서의 욱일기 사용이 세계 평화 증진과 인류애를 실천하는 올림픽 정신과 가치에 정면으로 위반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IOC가 도쿄조직위의 욱일기에 대한 입장을 철회하고, 욱일기가 경기장에 반입되지 않도록 철저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과 조치를 해 줄 것을 요청했다.

  문체부는 IOC에 공식적으로 서한문을 보내는 것과 병행해 대한체육회와 대한장애인체육회(KPC)도 도쿄조직위에 욱일기 논란에 대한 항의와 조치를 요구하는 서한문을 발송하는 등 관련단체와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나설 계획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등 유관단체 및 민간과 협력해 IOC와 도쿄조직위 등에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욱일기가 반입금지 물품에 포함되는 등의 조치를 강력하게 요구할 계획”이라면서 “국제사회에 욱일기 사용의 문제점을 널리 알리고 공감대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컨소시엄, 핵심 인프라 위한 '윤리적 AI 프레임워크' 공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주요 기술 기업 및 국제 연구기관으로 구성된 글로벌 AI 윤리 컨소시엄이 오늘, 전 세계 핵심 인프라에 적용될 '윤리적 AI 프레임워크'를 공식 발표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에너지, 교통, 금융, 통신 등 사회 기반 시설에 인공지능 기술이 광범위하게 도입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고, AI 시스템의 안전성, 투명성, 그리고 책임성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프레임워크는 단순한 가이드라인을 넘어, AI 시스템 설계부터 배포, 운영 및 폐기까지 전 생애 주기에 걸쳐 윤리적 원칙을 내재화하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이는 AI 기술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면서, 기술 발전과 더불어 윤리적 고려가 필수불가결하다는 국제 사회의 공감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예측 불가능한 사고나 시스템 오류가 대규모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는 핵심 인프라 분야에서 AI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프레임워크의 주요 내용은 크게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첫째, '인간 중심의 통제 및 감독' 원칙을 강조하며,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