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얼어붙은 금시장

나날이 치솟는 금 가격에 거래가 실종됐다. 동네의 금은방은 물론 도매 상인들까지 금 관련 매매가 중단됐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유통이 되지 않는 그야말로 '돌'이 된 셈이다.

14일 한국귀금속판매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3.75g의 돌반지 소매가격은 27만원(판매가격)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초 18만원대에서 약 50% 오른 수준이다.

돌반지 가격의 상승은 국제 금 가격의 상승에서 비롯됐다. 같은 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값은 전날대비 온스당 8.9달러(0.5%) 내린 1742.6달러를 기록했다. 이번 주 금값은 품귀 분위기속에 5.5% 상승해 6주 연속 올랐다.

이처럼 금 가격이 국제적으로 치솟고 있고, 돌반지 가격 마저도 동반 급등하면서 거래도 뜸해지고 있다.

정부와 귀금속업계에서 금반지 유통이라도 늘리겠다고 내놓은 1g 돌반지 또한 유통이 얼어붙기는 마찬가지다. 1g 돌반지도 7만2000원으로 올랐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이 지난 6월에 1g 돌반지를 시장에 내놓으면서 '금값 상승에도 6만원대의 돌반지를 살 수 있게 됐다'는 문구도 무색해졌다.

하지만 현장의 목소리는 다르다. 출시된 달에만 반짝 수요가 있었을 뿐, 지난 달부터 수요가 이미 얼어붙기 시작했다고 관계자는 귀띔했다. 7~8월은 휴가철로 돌잔치가 줄어드는 계절적 요인도 있지만, 치솟는 금 가격에 아예 금반지 구매를 꺼리고 있는 게 수요감소의 원인이라도 업계 관계자는 설명했다.

한국귀금속판매중앙회 관계자는 "금반지 판매도 어렵거니와 매입도 어려운 실정"이라며 "금 관련 대형유통점들이 시장을 주도하면서 동네 금은방들은 판매도 매입도 안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그나마 돌반지의 차익을 실현하려는 수요가 있다는 것. 하지만 이 조차도 금을 유통하는 채널은 순금나라, 골드스토어, 금시세닷컴 등 대형 유통점에만 몰리고 있다는 얘기다. 때문에 이른바 '동네 금은방'은 어려움에 처해있다는 게 중앙회의 설명이다.

귀금속 소매업계 관계자는 "폐업하는 금은방들이 올해들어 부쩍 늘어났고, 신규로 등록하는 업체수도 줄었다"며 "페업 신고는 안하더라도 현장을 찾아가보면 업종을 전환했거나 간판만 걸어놓은 경우도 부지기수"라고 말했다. 영업을 하는 금은방이더라도 가게세를 못낼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유럽중앙은행(ECB), 예상 밖 '매파적' 신호…글로벌 증시 출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최근 발언이 시장에 예상치 못한 충격을 던졌다. 지속적인 에너지 가격 상승과 견조한 임금 인상세가 인플레이션 압력을 다시 높이면서, 유럽중앙은행이 이전의 완화적 기조에서 벗어나 '매파적' 신호로 돌아섰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쳐 주요 증시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최근 인플레이션 지표가 당초 예상보다 끈적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에너지 비용과 서비스 부문 임금 상승이 우려스러운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발언은 시장이 기대했던 금리 인하 시점 연기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대신, 오히려 추가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열어두는 듯한 태도로 해석된다. 유로존 경기 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억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ECB의 이러한 스탠스 변화는 유로존 국채 금리를 끌어올렸을 뿐만 아니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유로화 강세는 수출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