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세계 보도망 확충 전 세계 6억 5000만뷰 송출망 확보!

중국 성장률 금융위기후 비상

  • 등록 2015.04.15 13:16:19
크게보기


[데일리연합 이소현 기자]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7.0%로 떨어지면서 정부의 거시경제 운영에 비상이 걸릴 전망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총액이 14조667억 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0% 증가했다고 15일 전했다.

이 같은 분기 성장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급격히 떨어진 2009년 1분기(6.6%) 이후 6년 만에 최저치로 기록됐다. 연간 기준으로 24년 만에 최저치(7.4%)를 기록한 지난해 2분기 이후 3개 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인 것이기도 하다. 지난해 성장률은 1분기 7.4%, 2분기 7.5%, 3분기 7.3%, 4분기 7.3%였다.

국가통계국은 중국 경제가 총체적으로는 안정세를 유지하지만 성장 속도가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투자와 무역이 모두 부진을 보인 것을 비롯한 경제지표 둔화가 1분기 성장을 짓누른 것으로 풀이됐다.

중국의 1분기 고정자산투자액(농업 제외)은 7조7천511억 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5% 증가했다. 지난해 연간 15.7% 증가한 것에 비해 증가폭이 줄어든 셈이다. 지난달 말 기준 총통화(M2) 잔액 증가율은 11.6%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0.5%포인트 낮아졌으며,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증가율은 1.4%로 2월에 이어 연속 1%대에 머물러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속 경기 침체) 우려까지 낳고 있다. 3월 무역도 크게 위축됐다. 수출은 8조8천680억 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6%, 수입은 8조6천870억 위안으로 12.3% 각각 급감했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전날 경제전문가, 기업 고위 관리자 등과 한 경제좌담회에서 "경제 하강압력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면서 "안정 성장과 구조조정의 균형을 잘 맞춰나가야 한다"고 말하면서 성장세 하락이 지속되어 중국 정부가 제시한 올해 성장률 목표(7.0%) 달성에도 빨간불이 켜졌다고 덧붙였다. 그래서 유동성 완화를 통한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이미 지급준비율(지준율)과 기준금리를 잇따라 인하하고 공개시장 조작을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했지만 추가적인 조치를 통해 지속적인 '돈 풀기'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편 관칭여우(管淸友) 민성(民生)증권연구원 거시경제연구원도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정책을 가속하고 새로운 무역지역을 개척해야 한다며 "안정적인 실물경제를 위해선 적극적인 재정과 유동성 완화정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사회과학원 재경전략연구원은 최근 연구보고서를 통해 경제 하강압력이 비교적 큰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유동성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소현 기자 기자 hidaily@naver.com









데일리연합 | 등록번호 : 서울 아02173 | 등록일 2008년 7월 17일 | 대표전화 : 0505-831-7000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529, 5층 5346호 (역삼동) | 발행인 : (주)데일리엠미디어 김용두 모든 컨텐츠와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