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김준호 기자]일본 공산당의 약진이 지방선거에서도 이어졌다. 12일 지방선거에서 치러진 41개 광역(도도부현) 의회 선거에서 공산당은 종전 75석에서 48% 늘어난 111석을 따냈다. 특히 선거가 치러진 41개 광역 지방의회 모두에 의원을 보유하게 된 것이 의미있었다.
아울러 인구 50만명 이상 도시(정령시) 의회 선거에서도 공산당은 종전 104석에서 31% 늘어난 136석을 차지했다. 2013년 6월 도쿄도(都) 지방의회 선거에서 의석을 8석에서 17석으로 늘린 공산당은 같은 해 7월 참의원 선거 때 6석에서 11석으로 늘린 데 이어 작년 12월 아베 총리의 기습적인 국회 해산으로 치러진 중의원 선거에서 의석을 배 이상(종전 8석→21석)으로 늘리는 선전을 했다고 전했다.
공산당의 선전은 거침없이 질주하는 아베 정권에 반대하는 진보 성향 표심을 담을 '그릇'이 마땅치 않은 현실 속에 '반 아베' 선명성을 분명히 한 결과로 평가된다. 일례로 아베 색깔이 가장 확연히 드러난 집단 자위권 및 개헌과 관련, 각종 여론조사에서 반대가 찬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오고 있지만 제1야당인 민주당은 내부에서 찬반으로 갈려 있고, 제2야당인 유신당은 지지하는 입장이다. 또 1990년대 총리(무라야마 도미이치)까지 배출한 전통의 진보정당 사민당은 반대하긴 하지만 근년들어 존재감 자체가 미미하다.
앞서 2013년 참의원 선거와 작년 중의원 선거때 20대 여성 후보를 '간판급'으로 내세워 당선시킨 것도 '늙은 정당(1922년 창당)' 이미지에서 벗어나게 하는데 기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와 함께, 국고에서 나오는 정당 보조금과 기업 헌금을 받지 않으며, 당원들의 당비와 개인모금, 기관지 '아카하타(赤旗)' 구독료만으로 당을 운영해온 전통이 정치자금 스캔들이 최근 속속 불거진 상황에서 빛을 발하는 측면도 없지 않아 보인다.
일본공산당은 사유 재산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정통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이탈해있는 제도권 진보 정당으로 볼 수 있다. 1979년 중의원 수가 41석에 달하는 등 전성기를 보낸 뒤 1990년대 사회주의권 몰락과 소선거구제 도입 등의 타격을 입고 20여 년간 당세가 꾸준히 쇠락하다 최근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