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이소현 기자]10명 중 1명꼴로 일자리가 없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실업 문제는 경제가 살아나더라도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유럽중앙은행(ECB)이 내년 9월까지 월 600억 유로 규모의 양적완화를 진행해 경제 성장 속도를 끌어올리는데 성과를 내더라도 구조적 실업은 여전할 것이라는 것이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는 경제 성장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수년간 계속돼온 경기 침체와 정체 때문에 타격을 받은 사람들이 경기가 회복할 때 혜택을 입을지는 의문이라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적했다.
유로존 실업률이 지난 1월 현재 11.2%인 가운데 기업들이 고용을 크게 늘릴 만큼 경기가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는 분석가들은 거의 없다.경제성장률이 이전의 패턴에 복귀하더라도 구조적 실업은 여전히 남을 것으로 보는 셈이다.
런던 소재 국립경제사회연구소(NIESR) 조너선 포츠소장은 "유로존 정책당국은 높은 위험한 실업률을 계속 참고 있다는 게 실망스럽다"고 지적했다.많은 분석가들이 경기회복이 이뤄지더라도 실업률은 7.2% 이하였던 2008년 금융위기 이전 수준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6년에 걸친 유로존 위기가 경기가 회복할 때에도 일자리 창출이 불가능할 정도로 취업 기반을 손상했을 것이라는 진단이다. 특히 유로존 위기는 국가 간 빈부 격차를 키우고 있다.
25세 미만 청년 실업률을 보면 독일은 7.1%다. 반면 스페인과 그리스는 50%를 웃돌고, 이탈리아도 40%를 넘는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