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제주에서 이뤄진 소나무 재선충 방제가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공무원들의 관리감독여부에 대해서도 수사중이다.
제주지방경찰청은 지난 2013년부터 10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도평과 소길·유수암 등 5개 지구에서 소나무 재선충 방제작업을 한 A업체를 사기 혐의로 적발해 수사하고 있다.
A업체는 재선충병에 걸린 소나무 1만 4,786그루를 제거해야 하는데도 3,181그루가 모자란 1만 1,605 그루만 제거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A업체가 총사업비 10억 7,000만 원 가운데 2억 5,000만 원 가량은 부당하게 챙긴 것으로 보고 있다.
재선충 방제가 가장 부실한 곳은 도평 지구로 계약 물량이 2,970그루지만 37%는 그대로 둔 채 1,863그루만 제거한 것으로 알려졌다.
A업체는 작업량을 속이기 위해 소나무에 부착되는 GPS 정보를 조작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또한 메뉴얼상 소나무를 절단할 때는 지표면과 10㎝이내로 해야 하는데 30㎝에서 50㎝, 심지어 1m나 남겨두고 절단한 소나무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의 수사는 공무원들의 관리감독 부실 여부로 확대됐다. 제주도는 각 지구마다 감독 공무원 2명과 준공 공무원 1명 등 모두 3명을 배치했으며 A업체가 맡은 5개 지구에도 모두 15명의 공무원이 관리감독을 했다.
경찰은 이들이 소나무 제거 여부를 확인도 하지 않고 사업비를 지출했는지를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관리감독 부실이 드러나면 공무원들은 허위공문서작성과 동행사 혐의로 입건될 전망이다.
윤준식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