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2025년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한 공급망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사 의무가 한층 강화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3D) 발효가 임박함에 따라 국내외 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에 걸쳐 인권 및 환경 실사 시스템을 구축하고 투명성을 확보해야 하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CS3D는 기업이 자사 및 공급망 내의 인권 침해 및 환경 영향을 식별하고 예방, 완화하는 의무를 부과한다. 이는 단순한 권고를 넘어 법적 구속력을 가지며, 위반 시 상당한 벌금과 법적 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어 기업의 재무적, 비재무적 리스크 관리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까지 파급효과가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 공급망 전체의 ESG 역량 강화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다.
현재 많은 기업이 공급망 실사에 대한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실제 적용에는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방대한 공급업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의 복잡성, 공급업체들의 ESG 역량 편차, 그리고 실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비대칭성 등이 대표적인 난관으로 지적된다. 특히 중소 규모의 협력업체들은 ESG 경영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자원과 전문성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기업들은 선제적인 대응 전략 마련에 집중해야 한다. 우선, 공급망 내 모든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ESG 리스크 평가를 실시하고, 중대 리스크가 있는 영역에 대한 심층적인 실사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협력업체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ESG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동반 성장을 도모하는 상생의 접근이 필요하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급망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도 필수적이다.
궁극적으로 기업은 공급망 ESG 실사를 단순한 규제 준수 차원을 넘어, 기업 가치 제고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적 투자로 인식해야 한다. 투명하고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는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하고,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으며, 장기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다가오는 새로운 규제 환경 속에서 ESG 경영을 선도하는 기업만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