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가 세계적으로 넘쳐나고 있다. 한국에서는 우유 과잉 생산을 막기 위해 젖소를 도축하고, 영국에서도 낙농업을 그만두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중국에서도 하루 수십톤의 우유가 버려지고 있다.
현재 우유의 공급이 과잉 상태에 있는데, 한국의 경우,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의 원유 생산량은 약 220만8000여 톤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다.
한국은 3년 전인 2011년 초까지만 해도 구제역 등의 영향으로 젖소 사육두수가 39만6000여 마리까지 줄어 우유 공급이 모자랄 것을 걱정해야만 했었지만 2014년 3분기 현재 젖소 사육량은 42만8000여마리로 3년여간 3만 마리가 늘었다. 거기에 겨울 날씨까지 포근하면서 생산된 우유의 양도 더욱 크게 늘어났다.

반면 수요는 줄고 있다. 좋은 먹거리가 넘쳐나면서 더 이상 ‘완전 식품’이라는 것만으로는 소비자의 구미를 당길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소비자 조사 결과 가구당 4주 평균 우유 구매량은 5.33kg으로 전년보다 3.63%가 줄어들었으며 구입금액도 2% 줄어든 1만3597원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선진 시장에서는 이런 추세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유업계가 기댈 수 있는 곳은 중국과 같은 거대 신흥시장이지만, 중국의 수요는 예상만큼 증가하지 않았고 중국 내 우유값도 계속 떨어지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중국 시장을 바라보고 투자를 늘린 세계의 우유 업계에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한국의 유가공업계는 지난 5월부터 중국으로의 우유 수출이 막히고, 국내 소비도 부진해지면서 재고가 쌓이자 11년만에 감산에 들어갔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낙농가 당 3마리씩 젖소 의무 도축안도 확정했다.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소비자 조사 결과 가구당 4주 평균 우유 구매량은 5.33kg으로 전년보다 3.63%가 줄어들었으며 구입금액도 2% 줄어든 1만3597원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선진 시장에서는 이런 추세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유업계가 기댈 수 있는 곳은 중국과 같은 거대 신흥시장이지만, 중국의 수요는 예상만큼 증가하지 않았고 중국 내 우유값도 계속 떨어지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중국 시장을 바라보고 투자를 늘린 세계의 우유 업계에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한국의 유가공업계는 지난 5월부터 중국으로의 우유 수출이 막히고, 국내 소비도 부진해지면서 재고가 쌓이자 11년만에 감산에 들어갔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낙농가 당 3마리씩 젖소 의무 도축안도 확정했다.
김준호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