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여름 극심했던 폭염으로 인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원 대책의 효과와 한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지자체별로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했지만, 여전히 취약계층의 폭염 피해를 완전히 막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서울시의 경우, 무더위 쉼터 운영을 확대하고 취약계층에게 냉방 용품을 지원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그러나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노인과 독거노인의 피해가 컸다. 이는 단순히 쉼터 제공만으로는 부족하고, 적극적인 접근과 개별 맞춤형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경기도는 폭염 대비 시스템을 구축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예방적 조치를 강화했지만, 지역별 지원의 불균형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도시 지역과 달리, 농촌 지역의 취약계층은 지원 시스템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정보 접근성의 차이가 지원의 효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전문가들은 폭염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단순히 물리적인 지원뿐 아니라, 사회적 안전망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독거노인 등 사회적 고립 위험이 높은 계층에 대한 정기적인 안부 확인과 정신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폭염 예보 시스템의 정확성을 높이고, 취약계층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향후 폭염 대책의 개선 방향은 지자체 간의 협력 강화와 데이터 기반의 정책 수립에 있다. 지역별 취약계층의 특성을 분석하여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지원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필요에 따라 정책을 수정하는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통해 폭염으로 인한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더욱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폭염으로 인한 취약계층 피해는 단순히 기온 상승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안전망의 부재와 사회적 불평등의 심각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노력과 더불어,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사회적 약자 보호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