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대졸자 취업률은 2012년 56.2%에서 2013년 55.6%, 2014년엔 54.8 %로 점점 하락세에 있다.
특히 여대생의 취업률은 2012년 52.1%에서, 2013년 51.3%, 2014년은 51.1%로 남자들보다 더 취업이 힘든 상태다.
한국장학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두 학기 동안 대학생들이 받은 학자금대출은 78만3700여건으로 매학기마다 40만명에 가까운 대학생이 자신들의 미래를 담보로 대출을 받아 공부를 했다.
이들이 지난해 받은 학자금대출 총액은 2조4217억원에 이른다.
대학생 강 씨도 빚을 지며 열심히 공부했지만 취업은 커녕 인턴 합격조차 ‘하늘에 별따기’라는 말을 실감하고 있다. 어디든 기본 수십대 1이 넘어가는 경쟁률에 강 씨는 자신감을 잃어 갔다.
용돈 벌이를 위해 과외를 하고 싶어도 남학생들은 과외 자리조차 마땅치 않고, 방학이라 아르바이트를 하고 싶어도 괜찮은 알바 자리는 순식간에 모집이 끝나버린다.
학교 기숙사에 사는 강 씨는 요즘 학교 근처 원룸으로 이사를 가는게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 괜찮은 월셋방 구하기도 쉽지 않다지만 한 달에 50만원이 넘어가는 기숙사비가 원룸 월세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강 씨는 지난 5일 연세대 총학생회와 민달팽이유니온 등 시민단체가 “70만원에 달하는 기숙사비가 주변 원룸 시세보다 비싸다”며 기숙사비 인하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는 ‘우리 학교는 그 정도로 비싼건 아니라 다행’이란 생각마저 들었다고 전했다.
이들이 지난해 받은 학자금대출 총액은 2조4217억원에 이른다.
대학생 강 씨도 빚을 지며 열심히 공부했지만 취업은 커녕 인턴 합격조차 ‘하늘에 별따기’라는 말을 실감하고 있다. 어디든 기본 수십대 1이 넘어가는 경쟁률에 강 씨는 자신감을 잃어 갔다.
용돈 벌이를 위해 과외를 하고 싶어도 남학생들은 과외 자리조차 마땅치 않고, 방학이라 아르바이트를 하고 싶어도 괜찮은 알바 자리는 순식간에 모집이 끝나버린다.
학교 기숙사에 사는 강 씨는 요즘 학교 근처 원룸으로 이사를 가는게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 괜찮은 월셋방 구하기도 쉽지 않다지만 한 달에 50만원이 넘어가는 기숙사비가 원룸 월세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강 씨는 지난 5일 연세대 총학생회와 민달팽이유니온 등 시민단체가 “70만원에 달하는 기숙사비가 주변 원룸 시세보다 비싸다”며 기숙사비 인하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는 ‘우리 학교는 그 정도로 비싼건 아니라 다행’이란 생각마저 들었다고 전했다.
윤준식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