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세계 스마트폰 점유률을 보면 삼성전자 애플에 이어 글로벌 시장 점유율 3위에 오르는 샤오미는 13억 인구를 자랑 하는 거대 중국내수시장에서 광고비를 절약하는 한정수량 SNS마케팅 방법을 고집해 판매원가 절감을 현실화 한 부분이 샤오미가 성장 원동력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외에도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가 밝힌 성장의 비결에는 조립 부품의 공개로 투명성 확보로 신뢰를 얻었고 기술 엔지리어닝들은 경험이 많은 MS·구글·모토로라 출신들과 중국의 자본력과 중국개발팀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창업한지 5년 만에 이만한 성과를 이룰수 있었던것은 철저한 분석과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이 적중하면서 중국내 유명 스마트폰 제조사를 따돌리고 글로벌 IT시장에 진출을 계획 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단통법시행으로 이동통신사들의 영업 방식과 제조사들의 원가 공개등이 이루어 지지 않으면서 이동통신사와 제조사들을 비판 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방통위의 시장 개입의로 전국민 호갱 만들기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고 중국제품을 구입하려는 사람들도 늘고 있어 한국기업들의 자구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한국은 IT산업부분 성장은 세계에서 인정 받을만큼 급속도로 발전 했으나 글로벌 시장에서 격차가 좁혀지면서 가격경쟁 품질경쟁등 고려할 부분들이 늘고 있다.
최근 단통법 시행 후 스마트폰을 구입 하는 소비자가 대폭 줄었으며 새벽 스마트폰 대란이라는 이슈를 만든 애플아이폰의 판매에 이동통신사들은 대리점의 수수료 부분을 보조금 대신 과다하게 페이팩 해주는 꼼수를 쓰다 방통위의 경고와 조사를 받는등 많은 문제 점을 낳고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