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상상봉시설 장비노후로 화상상봉에 차질이 우려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산가족들을 위해 만들어진 화상상봉시스템이 관리 없이 방치돼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남북화상상봉시스템 구축에 국민 혈세가 들어갔지만, 시설에 대한 관리가 미비해 장비이상 등으로 화상상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05년 화상상봉시스템 장비 구축비용으로 들어간 예산은 약 27억원에 달했다. 현재 서울지사에 5개의 시스템이 설치돼 있고, 전국 8개 지사에 1개씩 총 13개의 화상상봉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하지만 지난 2007년 7차 화상상봉 이후 2013년 남북적십자 실무접촉 전인 2013년 8월23일까지 기기에 대한 관리는 전무했다.
그나마 실무접촉에서 화상상봉을 실시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장비 점검을 했지만, 이후 이산가족상봉이 무산됨에 따라 다시 그대로 방치돼 있다.
대한적십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점검당시 장비 노후화에 따른 배터리 불량, CPU PCB 교체가 필요하며, 네트워크 시설은 2007년 이후 장기간 미상용으로 제조사의 서비스 재지원 여부와 각 장비별 제조사 장애처리 지원 가능여부 등 파악이 필요하다'고 돼있다.
인재근 의원은 "적십자사는 남북간 합의가 이뤄진 후에 수리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2007년 이후 북측 화상장비와 연결을 해본 적이 없어 실제로 원만한 연결이 이뤄질지 의문이다"라고 전했다.
인 의원은 "이산가족은 갈수록 고령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대면상봉이 좋겠지만 건강문제 등으로 화상상봉을 이용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화상상봉시스템을 제대로 된 관리 없이 방치해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며 "기기를 주기적으로 관리해 화상상봉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올해 7월까지 이산가족신청자 현황을 보면 상당수가 70세 이상의 고령자였다. 특히 80~89세가 2만8907명(41.4%), 90세 이상이 7352명(10.5%)으로 이들은 전체의 이산가족의 51.9%에 해당했다.
2000년도 이후 이산가족 신청자 중 건강악화로 인해 신청취소를 한 이산가족은 817명에 달했다.
김봉수 기자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