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세계 보도망 확충 전 세계 6억 5000만뷰 송출망 확보!

이종진, "말기암환자 위한 호스피스 병상 확대해야"

  • 등록 2014.10.22 10:44:42
크게보기


▲ 말기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 병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자료=이종진 의원실 제공)


말기암 환자를 위한 호스피스 병상이 부족해 말기암 환자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국립암센터가 선도적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종진 의원(새누리당)에 따르면 국립암센터는 지난 2012년 9월 기획재정부로부터 22억원의 설계비를 배정받아 부속병원 증축을 추진하고 있다.

국립암센터 기관운영위원회에서 의결된 설계변경(안)은 병원 내 161병상이 들어가는 것으로 계획됐고 161병상 중 26병상만이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상으로 계획돼 있다.

이 의원에 따르면 국립암센터는 26병상으로 계획한 기준에 대해 지난 2012년 증축 용역 당시 지역암센터 평균병상수의 약 1.5배 수준인 20병상 내외로 구성했고, 현재 증축 설계변경(안)을 추진하면서 6병상을 추가해 26병상으로 설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종진 의원은 "26병상을 결정할 당시 별도의 수요조사는 없었다. 건물 규모와 국립암센터 재정상황에 대충 맞춰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상을 계획한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전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은 전국에 총 54개소, 병상은 883개에 불과하다. 인구 100만명 당 병상은 18개뿐인 실정이다.

복지부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사망자 4명 중 1명이 암이 원인일 정도로 말기암 환자가 많으며 말기암 기간 중 의료비 지출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망 전 3개월 의료비가 당해 연도 의료비의 50.4%에 달하며, 특히 사망 1개월 전에는 의료비 지출이 최고조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2년 '국립암센터 부속병원 증축 기획 컨설팅' 보고서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을 20병상 운영할 경우 연평균 5.5억원의 적자가 발생해 정부지원 없이는 적장운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올해 초 복지부에서는 완화의료 전문기관을 대상으로 54개 기관(868병상)에 대해 총 27억원의 예산을 차등 지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종진 의원은 "이와 같은 복지부의 발표와 부족한 우리나라 호스피스 병동의 현 주소를 보았을 때 점진적으로 호스피스 병동에 대한 추가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생각된다"라고 전했다.

이 의원은 "국립암센터는 정부가 우리나라 암 발생률과 사망률을 낮추는 역할 이외에도 암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힘쓰겠다며 설립한 기관이다"라며 "국립암센터의 위상과 역할을 고려했을 때 국립암센터가 선도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봉수 기자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데일리연합뉴스팀 기자 hidaily@naver.com









데일리연합 | 등록번호 : 서울 아02173 | 등록일 2008년 7월 17일 | 대표전화 : 0505-831-7000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529, 5층 5346호 (역삼동) | 발행인 : (주)데일리엠미디어 모든 컨텐츠와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