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일각에서는‘9시 등교’처럼 일방적으로 정책이 추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5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이재정 경기교육감의 공약인 분산학기제(연간 4학기 운영)의 경우 법적 제약으로 더이상 진행 할수 없게 돼 학교가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방학분산제를 검토하고 있다.
방학분산제는 초·중·고교의 2월 봄방학, 8월 여름방학, 1월 겨울방학 기간을 조정해 5월, 10월에 방학을 추가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이다.
경기도교육청은 방학연구 사례 등을 통해 방학분산제의 장·단점, 기대효과를 파악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방학분산제가 9시 등교정책 처럼 일방적으로 추진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장병문 경기도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은“일선 학교에서 재량휴업일을 운영하고 있는데 도교육청이 방학분산제라는 정책을 또 추진하려고 한다”며“강제적으로 시행될 것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현재 도내 초·중·고교는 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연간 2~7일을 재량휴업일로 지정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방학분산제를 검토하는 단계”라며“학교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학교가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방학분산제는 학생들의 집중력, 생활리듬 활성화를 위한 것이다”며“어린이날, 추석 연휴가 있을 때 2~4일 더 쉴 수 있게 해 휴식, 체험활동을 보장하는 정책”이라고 덧붙였다.
김병관 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